환경재단이 울릉도에서 수중 드론을 활용한 해양 정화 활동을 진행하며 도서지역 해양쓰레기 문제에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다. 지난 6월 27일 진행된 이번 활동은 ‘2025 바다쓰담 캠페인’의 일환으로, 장마철 집중 유입이 예상되는 해양쓰레기의 실태를 파악하고 지속 가능한 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하는 해양쓰레기는 연간 약 14만5000톤에 달하며, 이 중 상당량이 장마철과 태풍 시기에 집중적으로 유입된다. 특히 울릉도는 외국 해양쓰레기의 유입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수거 후 육지로 이송해야 하는 구조적 제약과 처리 인프라 부족이라는 이중의 한계를 안고 있다. 이로 인해 수거된 쓰레기가 장기간 방치될 경우 2차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어, 대응 체계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번 정화 활동은 울릉도의 청년 환경팀 ‘Team_STA’를 중심으로, ‘고고다이브’, ‘플로빙코리아’, ‘플로깅울릉’ 등 다양한 민간단체가 참여해 현포 웅포항 일대에서 공동으로 진행했다. 울릉도의 급경사 해저 지형과 강한 조류 환경에 맞춰 항공 드론과 수중 드론(ROV)을 병행 투입하는 방식으로 과학적 모니터링을 진행한 뒤,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인 쓰레기 수거가 이뤄졌다.
정화 작업은 고해상도 항공 드론으로 해안선의 쓰레기 분포를 먼저 파악한 후, 수중 드론을 통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해역의 해저 쓰레기까지 정밀 탐색하여 쓰레기 밀집 지역을 선별했다. 이를 바탕으로 수거 우선순위를 설정해 작업의 효율성을 높였다.
이날 수거된 해양 폐기물은 총 158리터로, 폐로프, 스티로폼 부표, 낚시 쓰레기 등 어업 관련 폐기물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플라스틱 용기, 비닐, 스티로폼 파편 등 생활 유래 쓰레기가 다수 발견됐다. 특히 외국어 라벨이 부착된 중국, 일본, 러시아산 폐기물도 확인돼 울릉도 해역이 국경을 초월한 해양오염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했다.
Team_STA의 성기철 대표는 “울릉도는 해류와 계절풍의 교차 지점에 위치해 외국 쓰레기 유입이 반복되는 구조적 특징을 지닌다”며 “지속적인 정화 활동을 위해선 수중 쓰레기 수거 장비와 전문 인력, 처리 시스템 등의 현실적 기반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환경재단은 울릉도가 동해에서 쓰레기 유입과 처리의 최전선에 위치한 만큼, 민관 협력을 통해 인프라와 대응체계를 함께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지역 단체와 협력해 정화 활동은 물론 해양 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 캠페인도 지속할 계획이다.
한편, 환경재단은 2020년부터 한국 코카콜라와 함께 시민참여형 해양정화 캠페인 ‘바다쓰담’을 운영하고 있다. 이 캠페인은 전국 해안과 도서 지역의 민간 정화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1만여 명의 시민이 참여해 약 160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한 바 있다.
‘2025 바다쓰담’ 캠페인은 연중 전국적으로 계속되며, 다양한 파트너와 함께 해양 환경 보호 모델의 확산을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