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9월 한 달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국을 맡아 국제 평화와 안보를 둘러싼 주요 의제 논의를 주도한다. 안보리 의장국은 한 달 동안 안보리를 대표하며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권한을 가진다. 특히 이번 9월은 전 세계 정상급 인사들이 뉴욕에 모이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가 열리는 시기여서 우리나라의 의장국 수임은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안보리 의장직은 이사국의 영문 국명 알파벳 순으로 한 달씩 돌아가며 맡게 되며, 한국은 2024~2025년 임기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면서 2024년 6월과 2025년 9월 두 차례 의장국을 맡게 됐다.
우리 정부는 의장국 대표 행사로 오는 9월 24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 하에 “인공지능과 국제 평화·안보”를 주제로 한 공개토의를 연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안보리 의장으로서 직접 회의를 주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급속히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국제 평화와 안보에 미칠 기회와 도전을 짚어보고,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9월 9일에는 정부가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의제 중 하나인 유엔 평화활동(PKO 포함)을 주제로 한 공개토의가 개최된다. 이 회의는 평화유지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모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9월 회기 동안 안보리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시리아 내전, 예멘 사태, 민주콩고, 아프가니스탄 등 국제사회의 주요 분쟁 지역 문제를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한국은 의장국으로서 각 의제별 논의 과정에서 실질적 기여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수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한국 정부가 중점적으로 다뤄온 여성·평화·안보(WPS) 의제와 기후·안보 문제 역시 논의의 장에서 비중 있게 다뤄질 예정이다.
전 세계의 이목이 유엔에 집중되는 9월, 한국의 안보리 의장국 수임은 국제 무대에서 가시성과 존재감을 높이는 기회다. 우리 정부는 이번 의장국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국제 평화와 안보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고,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다자외교의 현장에서 한국의 역할을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