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군 정찰위성 ‘425 위성’ 5호기 발사 성공… 한화시스템, 핵심 장비 국산화 견인

  • 등록 2025.11.03 10:12:25
크게보기

한국의 독자 정찰 능력 확보를 위한 ‘425 위성’ 사업이 마지막 단계에 도달했다.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한 군 정찰위성 ‘425 위성’의 마지막 5호기가 2일(현지 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너베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이번 5호기 발사로 한국은 주·야간은 물론 악천후 상황에서도 한반도와 주변 지역을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독자 정찰위성 체계를 완성하게 됐다. 이는 한국형 킬체인의 핵심 축인 감시정찰 위성망 구축이 마무리됐음을 의미하며, 한국이 자주적 위성 운용국으로 도약했다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

 

‘425 사업’은 전자광학·적외선(EO·IR) 위성 1기와 합성개구레이다(SAR) 위성 4기로 구성된 대한민국 최초의 군 정찰위성 개발 프로젝트다. ‘SAR(사)’와 ‘EO(이오)’의 발음을 결합해 ‘425’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방위사업청이 사업을 총괄하고,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을 주관했으며, 한화시스템이 핵심 장비인 SAR 탑재체 제작을 담당했다.

 

한화시스템은 2018년부터 SAR 센서와 데이터링크 개발에 참여해 2·3·4호기에 이어 이번 5호기에도 SAR 탑재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했다. 특히 5호기는 SAR 센서의 전자부와 데이터링크 등 주요 부품의 국산화에 성공해, 전체 위성의 국산화율을 크게 높였다.

 

한화시스템은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반사판 안테나와 급전 배열 조립체 등 핵심 기술도 국내 개발 중이다. 회사 측은 이 같은 기술 자립이 국가 안보 강화는 물론, 향후 한국 우주산업 경쟁력 제고에도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의 SAR 탑재체는 고속·대용량 데이터링크를 통해 안정적으로 영상을 전송하며, 주·야간 및 기상 조건에 관계없이 고해상도 관측이 가능하다. 하루 4~6회 한반도를 촬영할 수 있고, 특정 지역을 반복적으로 관측할 수 있어 실시간 정찰 능력을 크게 높였다.

 

송성찬 한화시스템 우주사업부장은 “대한민국이 독자 감시정찰 능력을 확보하는 역사적인 여정에 한화시스템이 함께할 수 있어 자부심을 느낀다”며 “축적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가 안보와 국방 우주산업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지난 10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초저궤도에서 15cm급 초고해상도로 지구를 관측할 수 있는 ‘VLEO UHR SAR’ 위성 목업을 공개했다. 또한 인공지능을 활용해 위성 데이터를 분석·전파하고, 지휘관의 빠르고 정확한 결심을 돕는 ‘AI 위성 데이터 분석 솔루션’도 선보이며 차세대 우주정찰 기술력을 입증했다.

양세헌 기자 headyang1@gmail.com
Copyright @헤드라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경기,아53028 | 등록일 : 2021-10-07 | 제호명: 헤드라인 경제신문 |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216번길 13 발행 편집인 : 양세헌 | 전화번호 : 010-3292-7037 Copyright @헤드라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