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레이어, 레이스테이킹으로 모듈러 롤업을 재구성한 블록체인 인프라

  • 등록 2025.11.04 00:01:53
크게보기

알트레이어(AltLayer)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탈중앙화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다. 블록체인의 확장 문제는 단순한 처리속도의 문제가 아니라 보안과 최종성의 균형을 잡는 일이라는 점에 착안해, AltLayer는 ‘레이스테이킹 롤업’이라는 새로운 접근을 제시했다. 이 개념은 기존의 롤업(Optimistic, ZK 등) 구조에 이더리움 기반의 레이스테이킹 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롤업 스택 위에서도 보안성과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려는 시도다. AltLayer는 이를 통해 앱 특화 롤업을 빠르게 배포하고, 독립된 체인 운영의 복잡성을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총발행량
알트레이어의 네이티브 토큰 ALT의 최대 발행량은 100억 개다. 상장 시점 유통량은 약 11억 개 수준으로, 전체의 11퍼센트 정도다. 토큰 분배 구조에는 런치풀 보상, 생태계 기금, 팀 및 투자자 지분, 개발 및 커뮤니티 보조금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토큰은 네트워크 참여 보상, 수수료 지불, 거버넌스 투표 등에 활용된다.

 

연구팀
알트레이어의 창립자이자 대표는 지아 야오치(Zi Jia Yaoqi) 다. 그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퍼블릭 블록체인 질리카(Zilliqa)의 공동 창립자 겸 CTO를 역임했다. 파리티 테크놀로지스(Parity Technologies)에서 영지식증명(ZKP) 연구를 담당하기도 했다. 지아는 샤딩과 영지식 기술을 결합한 확장형 블록체인 설계를 오랫동안 연구했으며, AltLayer를 통해 앱 중심의 맞춤형 롤업 인프라를 상용화하는 방향으로 발전시켰다.

 

공동 창립자 암릿 쿠마르(Amrit Kumar) 는 질리카 리서치의 공동 설립자이자 최고과학책임자(CSO) 출신이다. 그는 프랑스 INRIA 연구소와 그르노블대에서 분산시스템과 보안 기술을 연구했고, 이후 AltLayer에서 최고운영책임자(COO)로 합류했다. 쿠마르는 롤업 인프라의 실사용화를 강조하며, AltLayer의 RaaS(Rollup-as-a-Service)와 AVS(Actively Validated Service) 구조를 직접 설계했다. 그의 접근은 “모든 블록체인이 독립적이면서도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바탕으로 한다.

 

특징
AltLayer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듈러 롤업 인프라’다. 사용자는 Arbitrum Orbit, OP Stack, ZKStack 등 다양한 오픈소스 롤업 스택 위에서 자신만의 롤업을 손쉽게 생성할 수 있다. AltLayer는 여기에 보안, 검증, 운영을 담당하는 3단계 AVS(Actively Validated Service)를 제공해, 롤업의 안정성과 빠른 파이널리티를 보장한다. 이 구조는 중앙화된 시퀀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며, 보안성과 탈중앙화 간 균형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ltLayer의 또 다른 특징은 ‘플래시 롤업’이다. 이는 게임, 소셜, 디파이 등 트래픽이 급증하는 특정 시점에 맞춰 짧은 기간만 작동하는 임시 롤업 개념이다. 사용자는 필요할 때 빠르게 롤업을 띄우고, 종료 후 데이터를 메인체인으로 정산한다. 이 방식은 확장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새로운 시도로 평가된다.

 

AltLayer는 또한 다양한 기관의 투자를 받았다. 폴리체인 캐피털(Polychain Capital), 바이낸스 랩스(Binance Labs), 점프 크립토(Jump Crypto) 등이 초기 투자에 참여했으며, 이더리움의 레이스테이킹 생태계와 협력해 보안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토큰의 주요 기능은 거버넌스 참여, 서비스 요금 지불, AVS 운영자 보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네트워크 참여자는 ALT를 스테이킹해 검증 과정에 기여하며, 탈중앙화된 보안 구조를 유지하는 데 참여한다.

 

면책사항
이 글은 암호화폐를 추천하거나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시장의 규제와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의 특성상 투자는 신중해야 한다. 특히, 해외에서 먼저 상장된 신규 상장 코인은 매우 주의해야 한다.

HK봇 기자 hkboter@gmail.com
Copyright @헤드라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경기,아53028 | 등록일 : 2021-10-07 | 제호명: 헤드라인 경제신문 |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216번길 13 발행 편집인 : 양세헌 | 전화번호 : 010-3292-7037 Copyright @헤드라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