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 확장성과 효율성을 강화한 이더리움 세컨드레이어 솔루션 기반 코인

  • 등록 2025.11.15 09:32:17
크게보기

플라즈마 코인(XPL)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세컨드레이어 솔루션에서 파생된 프로젝트다. 메인 체인에 과도한 트래픽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느린 속도와 높은 수수료 문제를 줄이기 위해 플라즈마 아키텍처를 응용한 탈중앙화 플랫폼으로 설계되었다. 사용자는 더 빠르고 저렴하게 거래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의 보안성은 그대로 유지된다. 특히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다중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고 있어 탈중앙화 앱(dApp) 생태계의 효율적인 확장을 목표로 한다.

 

총발행량
플라즈마(XPL)의 총발행량은 5억 개로 고정되어 있으며 프리세일과 팀 보상, 생태계 인센티브, 유동성 확보 등의 항목으로 균형 있게 분배되어 있다. 일정 비율은 장기 락업을 통해 팀과 초기 투자자의 시장 영향력을 제한하며 사용자 중심의 분산화된 경제 구조 형성을 추구한다.

 

연구팀
플라즈마 개발팀은 주로 유럽과 아시아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블록체인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더리움 세컨드레이어 기술을 실용화하고자 하는 목표 아래 다양한 연구와 시뮬레이션을 거쳐 플랫폼을 출시했다. 고성능 체인 구조와 사용자 경험을 함께 고려한 기술적 접근을 통해 실제 거래 환경에 맞는 최적의 솔루션 제공을 지향한다.

 

대표 연구원 소개
안드레 페르난데스 수석 아키텍트는 네트워크 구조와 분산 시스템에 정통한 개발자로 플라즈마 체인의 코어 설계 및 보안 프로토콜 개발을 이끌고 있다. 그는 이전에 이더리움 기반 확장성 프로젝트에 참여해 실용적 구현 경험을 축적한 인물이다.

 

이정우 블록체인 엔지니어는 국내외 다수의 암호화폐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을 주도해왔으며 사용자 경험 중심의 인터페이스 구현에 특화된 전문가다. 플라즈마 플랫폼 내의 사용자 지갑, 수수료 절감 알고리즘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

 

특징
플라즈마는 메인 체인과 별도의 체인을 구성해 수많은 거래를 오프체인에서 처리한 후 요약 정보를 메인 체인에 기록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처리 속도는 높아지고 수수료는 획기적으로 절감된다. 고속 거래 처리와 더불어 데이터 무결성 확보 기능도 강화되어 보안성과 확장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려는 것이 이 플랫폼의 강점이다.

 

또한 플라즈마는 자체 지갑을 통해 다양한 디앱과 연동이 가능하며 블록 생성 주기 조절 기능, 체인 포크 방지 기능 등 기술적 안정성을 강화한 여러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실시간 결제, 게임, NFT, 디파이 등 다양한 분야의 dApp 개발 환경을 지원하며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호환되는 범용성을 갖춘 것이 핵심 경쟁력이다.

 

※면책사항: 이 글은 암호화폐를 추천하거나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시장의 규제와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의 특성상 투자는 신중해야 한다. 특히 해외에서 먼저 상장된 신규 상장 코인은 매우 주의해야 한다.

헤드라인경제신문 기자 auroraaa@naver.com
Copyright @헤드라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경기,아53028 | 등록일 : 2021-10-07 | 제호명: 헤드라인 경제신문 |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216번길 13 발행 편집인 : 양세헌 | 전화번호 : 010-3292-7037 Copyright @헤드라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