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과천과학관이 오는 27일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의 성공을 응원하기 위해 11월 18일부터 23일까지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행사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소개된 초등학생 미술 작품을 국내 최초로 공개하고, 실물 크기의 누리호 모형 기립 시연까지 마련한 종합 우주 체험 행사다.
과학관 중앙홀 2층에서는 한국과학창의재단과 ㈜보령이 함께 준비한 특별전시가 열린다. 국제우주정거장에 게시된 국내 초등학생 작품 20점과 2026년에 우주로 보내질 예정인 작품 20점이 함께 전시돼 의미를 더한다. 실제 우주 탑재를 위해 표면 처리를 거친 원본이 그대로 공개되는 만큼 어린이들의 상상력이 어떻게 ‘지구 밖’에서 구현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시는 별도의 예약 없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스케치북 원본과 개별 액자 작품이 함께 전시돼 예술과 우주과학이 만나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과천과학관은 이번 전시를 통해 청소년의 우주과학 관심을 높이고 미래 우주 인재의 꿈을 함께 나누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주말인 22일과 23일에는 누리호를 주제로 한 체험 행사도 이어진다. 누리호 모형 만들기, 에어로켓 제작, 누리호 3D 조립, 색칠과 조립 후 발사대에서 직접 발사하는 종이로켓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지구와 달의 운동을 관찰할 수 있는 삼구의 제작 체험도 마련되며 모든 체험은 무료로 운영된다.
한국형 발사체 핵심 기술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전시도 관심을 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한 누리호 3단 연소기 개발 시제품이 공개돼 액체 연료를 태워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엔진 구조를 실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반에 공개되는 일이 드문 연구 시제품인 만큼 기술적 가치가 크다.
야외 광장에서는 높이 47.2미터에 달하는 누리호 실물 크기 모형의 기립 시연이 진행된다. 기립 후에는 카운트다운, 연기, 음향 효과가 더해져 관람객이 실제 발사 현장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체감할 수 있다.
행사 기간 동안 발사 성공을 기원하는 시민 참여 이벤트도 운영된다. 응원 메시지를 남기면 스탬프 투어 경품으로 우주비행사 키링과 사진 인화권이 제공된다.
과천과학관은 이번 행사가 과학과 예술을 한자리에서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주과학을 더 친근하게 전달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우주를 향한 국민적 관심과 응원을 한데 모으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
[출처=과학정보통신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