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중남미에서 AI 가전 돌풍을 일으키며 올해 1~10월 누적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4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가전=삼성’이라는 공식이 중남미에서도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올해 초 출시된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 일체형 모델이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으며 세탁기 매출이 무려 80% 가까이 증가했다. 세탁·건조 기능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편의성과 AI 기반 자동 제어 기능이 현지 소비자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삼성전자는 중남미 소비자 특성에 맞춘 AI 가전 라인업 확장과 체험형 스마트홈 공간 조성 등 공격적인 시장 전략을 펼치며 빠르게 성장하는 중남미 AI 홈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타티스타(Statista)는 중남미 스마트 가전 시장이 연평균 약 10%씩 성장해 2025년 26억 달러, 2029년에는 약 38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성장 폭이 큰 이유로는 스마트홈에 대한 높은 관심과 아직 낮은 보급률이 꼽힌다. 2025년 기준 중남미 스마트 가전 보급률은 약 11%로, 한국(63%), 미국(18%), 유럽(16%)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초기 시장에 가깝다.
삼성전자는 ‘패밀리허브’ 냉장고, ‘비스포크 AI 무풍 에어컨’,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를 비롯해 TMF 냉장고, 전자동 세탁기 등 중남미 인기 중저가 제품군에도 AI 기능을 확대 적용하며 생태계를 넓혀가고 있다.
스마트싱스(SmartThings)를 통한 AI 전력 관리 기능 역시 중남미 소비자에게 매력 요소다. 사용 전력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자동으로 전기 사용량을 줄이는 기능은 에너지 요금에 민감한 지역 특성과 맞물려 이용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삼성전자는 AI 홈 저변 확대를 위해 실제 생활 공간처럼 구성된 체험형 쇼룸도 구축했다.
- 9월, 과테말라에 중남미 최초 AI 홈 쇼룸 ‘까사 삼성(Casa Samsung)’ 오픈
방문객들은 음성 명령 기반 자동화(예: “영화 모드로 전환해줘”) 등 모든 AI 가전 기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 7월, 파나마에 중남미 최초 B2B 체험관 ‘비즈니스 익스피리언스 스튜디오(BES)’ 구축
기업·공공기관 파트너를 대상으로 AI 솔루션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B2B 시장 확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로 삼성전자는 미국 타임지와 스타티스타 공동 발표 ‘멕시코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에서 스마트홈 부문 1위를 차지했다. 냉장고, 스마트폰, TV, 웨어러블, 헤드폰 등 총 6개 부문에서도 1위를 기록하며 전방위적 브랜드 경쟁력을 입증했다.
삼성전자 중남미 총괄 밀레네 고메스 디렉터는
“중남미에서 AI 가전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집’이 생활 리듬에 반응하는 중심 허브로 진화하고 있다”며
“삼성은 프리미엄부터 실속형까지 다양한 AI 가전으로 중남미 스마트홈 생태계를 더욱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