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우 생산성 경제’의 등장...직장에서 AI를 몰래 쓰는 현
최근 한 조사에서 미국 직장인 절반가량이 상사에게 알리지 않고 AI 도구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공식적으로는 금지되거나 언급조차 되지 않은 상태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이미 AI가 비공식적인 동료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이를 두고 ‘섀도우 생산성 경제’라는 표현까지 등장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생산성, 조직의 제도권 바깥에서 자율적으로 발생하는 업무 혁신의 흐름이 이제는 무시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커지고 있다. 섀도우 생산성이란, 회사의 지시나 규범, 승인 절차와는 무관하게 개인이 스스로 도구와 방법을 찾아내는 과정을 뜻한다. 과거에는 엑셀 매크로나 개인 메모앱, 외부 협업 툴이 여기에 속했다면, 지금은 ChatGPT나 코파일럿,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비공식 생산성이 단순히 개인 차원의 편의를 넘어서 조직 전체의 문화와 운영 방식을 바꾸고 있다는 점이다. 한쪽에서는 규정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경계하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이를 통해 업무 효율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는 경험을 하고 있다. 장점은 분명하다. 반복적인 보고서 작성, 코드 디버깅, 기획안 초안 만들기 등에서 AI는 빠른 시간 안에
- 헤드라인경제신문 기자
- 2025-09-06 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