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브리튼 섬의 시작 – 로마 이전의 시간들 우리는 종종 역사를 국가와 민족의 이름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브리튼의 역사는 이름도, 국경도, 지도조차 존재하지 않던 시기부터 시작된다. 그 시기의 사람들은 자신이 '영국인'이라는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다. 그들은 단지 살아 있었다. 추위 속에서 사냥을 했고, 돌을 쌓아 신을 만들었으며, 별을 보며 방향을 잡았다. 이들을 오늘날 우리는 '브리튼의 선사인류'라고 부르지만, 그들에게는 스스로를 그렇게 부를 언어조차 없었다.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시작해 유럽으로 이주한 뒤, 해협을 건너 브리튼섬에 정착한 것은 약 40,000년 전의 일이다. 당시 브리튼은 대륙과 육지로 연결되어 있었고, 인간은 땅을 따라 이동했다. 그러나 기후가 따뜻해지며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브리튼은 섬이 되었다. 그리고 그날 이후, 고립은 이 섬의 숙명이 되었다. 고립은 방어의 장점이자 발전의 장애물이었고, 그 이중성은 앞으로 수천 년간 반복되는 테마로 작용한다. 이 땅의 초기 거주민들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야만인'이 아니었다. 오히려 그들은 자연을 읽는 데 있어 우리가 감히 상상할 수 없는 감각을 지녔고, 죽음을 두려워하는 방식
건축가 양진석이 30여 년간 유럽 전역을 누비며 쌓아온 경험과 통찰을 바탕으로, 건축을 통해 유럽 도시와 문명의 역사를 풀어낸 책이 출간된다. 교과서 발행 부수 1위 기업 미래엔의 성인 단행본 출판 브랜드 와이즈베리는 오는 4월 초 ‘양진석의 유럽 건축사 수업’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 책은 건축가이자 대중에게는 예능 프로그램 ‘러브하우스’로 친숙한 양진석이 직접 유럽 도시를 답사하며 체득한 건축 지식과 역사적 사유를 바탕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현대 건축에 이르기까지 유럽 건축의 흐름을 인문학적으로 조망한다. 건축을 단순한 물리적 구조물이 아닌, 시대정신과 문명을 비추는 거울로 바라보며 독자들에게 도시 공간의 깊은 맥락을 제시한다. 특히 책은 유럽 건축사를 ‘로마적 전통과 비로마적 혁신’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전개한다. 이를 통해 각 시대의 건축 양식이 어떤 철학적,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탄생했는지를 설명하며, 독자들이 건축을 통해 인류 문명의 변화와 확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돼 있으며, 고대 그리스·로마 건축에서 시작해 비잔틴과 로마네스크,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와 로코코, 그리고 19세기 이후 현대 건축에 이르기까지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