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LIG넥스원과 손잡고 대한민국 공군의 전자기 스펙트럼 전력 확보를 위한 전자전기 Block I 체계개발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컨소시엄은 오는 9월 초 최종 제안서를 제출할 예정이며, 사업 규모는 총 1조 7775억원에 달한다. 이번 사업은 정부 투자와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을 결합해 추진되며, 대한항공과 LIG넥스원이 체계 종합 업체로 선정될 경우 대한항공은 기체 개조와 제작을, LIG넥스원은 전자전 장비 개발과 탑재를 맡는다. 특히 이번 사업은 중형 민항기를 개조해 전자전기로 탈바꿈시키는 고난도 프로젝트로, 현재까지는 미국 공군의 EA 37B 외에는 전례가 없는 희소성이 높은 사업으로 평가된다. 전자전기는 주변국의 위협 신호를 수집하고 분석할 뿐 아니라 전시에 적의 방공망과 통신체계를 교란할 수 있는 장비다. 항공기와 지상 레이더, 각종 전자장비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만큼 현대 전장에서 핵심 전력으로 꼽힌다. LIG넥스원은 KF 21 전투기 전자전 장비와 차세대 함정 및 잠수함 전자전 장비, 신형 백두정찰기 임무 장비 등 다수의 국책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전자전 분야 국내 최고 기술력을 확보한 기업으로 꼽힌다. 대한항공은 지난 50여
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이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전자전기 연구개발 사업에 체계종합업체로 참여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총 1조7,775억 원을 투자해 국내 기업과 함께 진행하는 대규모 국방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방위사업청이 지난달 15일부터 입찰 절차를 진행 중인 한국형 전자전기 사업은 항공기에 전자기전(EW, Electronic Warfare) 임무 장비를 탑재해 주변국의 위협 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전시에 전자공격(jamming)으로 적의 방공망과 지휘통신 체계를 마비·교란하는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전자전기는 현대전에서 필수 자산으로, 작전 초기 적의 눈과 귀를 차단해 아군 전력의 생존성과 작전 효과를 높이는 핵심 전력으로 꼽힌다. 우리나라 전자기전 기술은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1970년대 함정용 장비 국산화에서 시작해, 1990년대 항공기용 전자전장비 개발로 이어졌다. 이후 레이더 기만·교란 기술, 디지털 재밍, 통신교란 고속처리 기술 등 핵심 기술을 차례로 국산화하며 발전해왔다. LIG넥스원은 47년간 국방과학연구소와 협력하며 육·해·공 전자전 무기체계를 개발해 왔다. 대표적으로 육군 지상전술전자전장비, 해군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