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전선이 세계 최대 송전 용량을 갖춘 초고압직류(HVDC) 케이블 상용화에 성공하고, 국내 최대 규모의 HVDC 사업인 한국전력 '동해안-수도권' 송전망 1단계에 단독 공급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제품은 525kV급 고온형 HVDC 케이블로, 도체 허용 온도를 기존 70도에서 90도로 높여 송전 용량을 최대 50%까지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오는 9월부터 ‘동해안-수도권’ HVDC 1단계 지중 구간에 투입될 예정이다. 해외에서도 관련 기술 개발은 이루어졌지만 양산 제품이 실제 송전망에 적용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전력 업계는 이번 성과를 '기술 한계를 넘어선 이정표'로 평가하고 있다. ‘동해안-수도권’ 송전망 프로젝트는 동해권 발전 전력을 수도권으로 효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국가 핵심 전력망 사업이다. 1단계는 동해안-신가평 변환소 구간이며, 수도권까지 연결하는 2단계도 추진 중이다. HVDC 기술은 기존 교류(HVAC) 대비 송전 손실이 적고, 최대 3배 많은 전력을 장거리로 전달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HVDC 시장은 2018년 약 1조8000억 원에서 2030년 41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LS전선이 초고압직류송전(HVDC) 분야에서 글로벌 누적 수주 3조 원을 돌파하며, 국제 품질 인증 수요 증가에 대응해 시험 인프라 확보에 나섰다. LS전선은 1일 한국전기연구원(KERI)과 경남 창원 HVDC 시험장 사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LS전선은 2027년 3월까지 KERI 시험장에서 525kV HVDC 케이블 시스템에 대한 품질 및 성능 시험을 진행한다. KERI는 STL(세계단락시험협의체) 정회원으로, 전력기기 시험의 국제 공신력을 인정받는 기관이다. 국내에서 HVDC 국제 기준 시험이 가능한 곳은 KERI를 비롯해 소수에 불과한 상황으로, 이번 협약을 통해 LS전선은 글로벌 인증 시험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HVDC는 장거리 대용량 전력을 효율적으로 송전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최근 해상풍력과 국가 간 전력망 연계 사업 증가에 따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프로젝트마다 설계가 달라지는 HVDC 케이블의 특성상, 품질 및 성능 시험은 필수 요소로 꼽힌다. LS전선은 “국제 인증 수요 증가에 대비해 KERI와의 협약을 통해 시험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확보했다”며 “이번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