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조정실은 청년정책의 기획과 집행 과정에서 청년 당사자의 목소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산하에 전문위원회를 신설하고, 이에 참여할 청년위원을 오는 9월 18일부터 10월 17일 오후 6시까지 공개 모집한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는 「청년기본법」 제13조에 근거해 설치된 민·관 합동 기구로,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아 청년정책 기본계획과 시행계획 등 정부 차원의 주요 청년정책과 현안을 심의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까지는 정부와 전문가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청년 당사자의 정책 참여 요구가 점차 높아지면서 청년의 직접적 참여를 제도적으로 보장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번에 설치되는 전문위원회는 청년이 단순히 청년 관련 사업을 검토하는 수준을 넘어, 실제로 청년정책의 과제를 발굴하고 정책안을 제시하며, 이를 제도화하는 과정까지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위원회는 ▴일자리 ▴교육 ▴주거 ▴생활 ▴참여·권리 ▴기획·균형발전 등 총 6개 분야로 나뉘며, 각 분야별 10명 이내, 전체 60명 이내 규모로 구성된다.
각 분야별 역할은 다음과 같다. 일자리 분야는 청년 고용 촉진과 일자리 질 개선을, 교육 분야는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환경 조성을 다룬다. 주거 분야는 청년 주거 안정과 수준 향상, 생활 분야는 금융생활 지원과 문화활동 촉진을 목표로 한다. 참여·권리 분야는 청년정책 수립 과정에서 청년의 직접 참여 확대를 담당하며, 기획·균형발전 분야는 지역 청년의 자립 지원과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주요 과제로 삼는다.
청년위원은 만 19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으로, 청년 관련 분야에서 활동 경험이 있거나 청년 대표성이 인정되는 경우, 청년단체 및 시설 활동 경험이 풍부한 경우, 또는 청년정책에 대한 관심과 참여 의지가 뚜렷한 일반 청년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임기는 2년이며, 연임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각 전문위원회에는 청년정책 전문가도 참여하는데, 이들은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추천을 통해 선발해 전문성을 보완한다.
지원은 청년인재DB(www.2030db.go.kr)를 통해 접수하며, 청년정책 통합 플랫폼인 온통청년(www.youthcenter.go.kr)에서도 청년인재DB에 접속할 수 있다. 신규 지원자는 회원가입과 프로필 등록 후 공고문을 확인해 신청할 수 있고, 기존 등록자는 프로필을 수정한 뒤 신청 가능하다.
모집이 완료되면 국무조정실은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1차 서류 심사와 2차 정책제안서 심사를 진행한다. 최종 선발자는 오는 11월 말 발표되며, 청년인재DB와 온통청년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되고 개별 통지도 이뤄진다.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산하 전문위원회는 청년이 단순한 정책 수혜자가 아니라 정책의 발굴자이자 설계자로 참여하는 새로운 장이 될 것”이라며 “정책의 현장성을 높이고 실효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김달원 청년정책조정실장은 “청년들이 자신의 경험과 목소리를 바탕으로 청년정책의 주체로 참여하는 기회를 적극 활용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청년들이 직접 정책 형성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며, 청년정책 전반에 청년세대의 다양한 의견과 경험이 반영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국무조정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