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재산처는 전국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이 학교에서 발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자율시간용 ‘발명’ 교과서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교과서 개발은 초등 교육과정 속에 발명교육을 정규화해 창의적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취지에서 추진됐다.

발명교육은 학생의 창의력과 도전 정신,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핵심 교육으로 평가된다. 지식재산처는 이를 정규 수업으로 편성하기 위해 교육과정 전문가, 초등교사, 발명교육 관계자 등 11명의 집필위원과 28명의 검토위원이 참여한 개발팀을 구성했다.
교과서는 4개 초등학교에서 시범 적용을 거쳐 완성됐으며, 경기도교육청의 인정교과 심의를 통과해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탑재됐다. 이에 따라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자율시간을 활용해 발명 교과를 개설할 수 있게 됐다.
‘발명’ 교과서는 ▲발명의 이해 ▲발명과 창의 ▲발명의 실제 ▲발명과 미래 등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됐다. 학년별로는 3학년 상표, 4학년 디자인, 5학년 특허, 6학년 지식재산 등 학생의 발달단계에 맞춘 내용을 다루며, 실생활과 연계된 사례 중심 학습을 통해 흥미를 높였다.
김정균 지식재산정책국장은 “이번 발명 교과서 개발로 발명교육을 쉽고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많은 학교가 자율시간을 활용해 창의적 발명인재가 자라날 수 있도록 적극 참여해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출처=지식재산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