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원조 감자빵 브랜드 감자밭이 올겨울 매장에서만 판매하는 한정 메뉴 ‘감자붕어빵’을 새롭게 선보였다. 노점에서 만나는 전통 붕어빵 감성을 그대로 살린 형태로 운영되며, 출시 직후부터 방문객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메뉴는 두 가지 구성으로 제공된다. 팥의 깊은 풍미를 살린 ‘전통 팥 붕어빵’과 감자밭의 대표 원료인 국내산 감자를 듬뿍 담아 속을 채운 ‘감자붕어빵’이다. 바삭한 껍질과 감자빵 특유의 보슬보슬한 식감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차례 레시피를 조정한 끝에 완성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감자붕어빵은 감자밭 카페 운영 시간과 동일하게 판매되며, 겨울철 간식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고객들이 매장에서 머무는 시간을 늘리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평가다. 감자밭은 이번 메뉴가 단순한 시즌 상품을 넘어 국산 구황작물로 만드는 K-디저트라는 브랜드 비전을 확장하는 흐름에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감자와 고구마 등 국내 농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메뉴 개발을 통해 국내 소비자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도 국산 재료의 가치를 전할 계획이다. 현재 감자밭은 감자빵과 고구마빵, 옥수수빵을 비롯해 감자·서리태·고구마 크림라떼 등 다채로운 시그니처 메뉴를 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방위사업청과 7054억 원 규모의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L-SAM) 양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회사는 2030년까지 대탄도탄 요격 유도탄(ABM)과 발사대 등을 군에 공급하게 된다. L-SAM은 고도 40km 이상의 상층에서 탄도탄을 요격하는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의 최상위 단계 무기다. 기존 천궁II와 패트리엇이 하층 요격을 담당한다면, L-SAM은 고고도 위협을 정밀히 차단해 방어망을 완성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공력 제어가 불가능한 고고도에서 직격 요격(Hit to Kill)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자세제어장치(DACS)와 국내 최초 적용된 이중펄스 추진기관이 적용돼 고난도 방어 능력을 확보했다. 이 두 기술은 극소수 국가만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기술적 의미도 크다. 지난달 한화시스템이 방사청과 3573억 원 규모의 L-SAM 다기능 레이다(MFR) 양산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이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계약까지 더해지며 L-SAM 전력화 사업은 본격 궤도에 올랐다. MFR은 탄도미사일과 적 항공기 등 다수 표적을 동시에 탐지·추적하고 항공기 피아식별까지 수행하는 L-SAM의 핵심 센서다. 국방과학연구소는 L-
서울 강북구가 2026학년도 수능 이후 연말까지 지역 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험형 흡연·음주·마약 예방 프로그램을 집중 운영하고 있다. 대학 진학과 사회 진입을 앞둔 시기에 올바른 인식 형성과 위험 예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마련된 교육이다. 강북구는 2022년부터 매년 수능 이후 예방 프로그램을 진행해왔으며, 올해는 강북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협력해 마약 예방 교육을 새롭게 추가했다. 프로그램은 관내 4개 고등학교에서 진행되며 약 1200명의 학생들이 참여한다. 교육 내용은 흡연·음주·마약 관련 기본 지식부터 음주 권유 상황 대처 기술, 자기 결정권 강화, 알코올 사용장애 자가 진단과 피드백 등 다양한 체험형 활동으로 구성된다. 학생들이 교실을 이동하며 여러 프로그램을 경험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참여도를 높였다. 지난 8월 강북구는 대학생 금연·절주 서포터즈 13명을 위촉하고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했다. 지역 내 대학생들이 청소년 예방 활동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또래 간 공감대 형성과 실질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순희 강북구청장은 수능 이후 해방감으로 인한 음주 등 일탈 가능성을 줄이는 데 예방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대학생 서포터즈
국민권익위원회가 건강보험료를 과오납했음에도 환급받지 못한 민원인의 사례를 심사한 끝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과오납 보험료 약 3천만 원을 환급해야 한다는 의견을 공식 표명했다. 행정기관의 소극적인 업무처리로 인한 부담을 국민에게 전가해서는 안 된다는 판단이다. 사업주 ㄱ씨는 2019년과 2020년 종합소득세 부과를 계기로 건강보험료 정산분 약 3천7백만 원을 2022년 6월에 납부했다. 이후 세무서장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소득세 환급을 받자, 그에 연동된 건강보험료도 과오납에 해당한다며 건보공단에 환급을 요청했다. 그러나 공단은 소멸시효 3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환급이 불가하다고 회신했다. 권익위는 조사 결과, 국민건강보험법 제91조에서 규정한 과오납 환급권의 3년 소멸시효는 재판상 청구가 있는 경우 민법 제168조에 따라 중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건보공단은 “민원인이 건보공단이 아니라 세무서장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에 시효 중단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유지했지만, 권익위는 이를 지나치게 협소하게 해석한 것으로 보았다. 권익위는 민원인이 공단의 산정 결과를 신뢰해 성실히 보험료를 납부했고, 과세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3년에 걸쳐 소송까지 진행한
SNS와 블로그 광고를 통해 소비자를 유인한 뒤 배송 지연과 환급 거부로 이어지는 중고아이폰 온라인 거래 피해가 크게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접수된 상담 건수만 수십 건에 달하며, 전국적으로도 유사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수원시에 거주하는 A씨(19)는 지난 8월 빈티지 사진 촬영용 중고아이폰 광고를 보고 B사이트에서 26만4천 원을 계좌이체로 결제했다. 며칠 뒤 배송 메시지와 운송장번호를 받았지만 조회는 되지 않았다. 판매 측은 해외배송으로 2~4주가 걸린다고 안내했으나 두 달이 지나도 제품이 도착하지 않았고, 결국 취소 요청을 했지만 지금까지 환불이 이뤄지지 않았다. 고양시의 C씨(29)는 같은 사이트에서 38만4천 원짜리 중고아이폰을 구매했다가 불량 제품을 받아 반품을 요청했다. 카드 결제 취소가 5일 내 처리될 것이라는 안내와 달리 한 달이 지나도록 환급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처럼 배송 지연과 환급 지연 사례가 급증하면서 소비자 피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관련 피해는 9월 24일 경기민원24에서 전자상거래 소비자분쟁 자율조정 신청을 통해 처음 접수된 이후, 추석 연휴 이후 상담 건수가 폭증했다. 9월 5건에
LS ELECTRIC이 일본에서 직접 투자까지 참여하는 첫 계통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 발전소 건설을 시작하며 일본 ESS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회사는 11월 27일 일본 치바현 이치하라시에서 전력변환장치(PCS) 2MW, 배터리 8MWh 규모의 ESS 발전소 기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계통연계 ESS는 전력망에 연결해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한 시점에 공급함으로써 전력 사용의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으로, 태양광과 풍력처럼 출력 변동성이 큰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핵심 인프라다. LS일렉트릭은 이번 프로젝트에서 PCS 등 핵심 전력기기를 공급하고, 안정적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도 구축한다. 이번 사업의 의미는 단순한 설비 공급을 넘어 LS일렉트릭이 일본에서 투자, 운영, 전력 거래까지 직접 수행하는 첫 사례라는 데 있다. 글로벌 ESS 시장에서는 보통 금융기관이나 전력회사가 투자를 맡고 제조사들은 설계·조달·시공(EPC)과 운영(O&M)을 담당해 왔지만, LS일렉트릭은 일본에서 축적한 구축 역량을 토대로 ‘풀 밸류체인’ 전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일본 ESS 시장은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과
Korean temple food is earning international praise for its simplicity and natural ingredients. Vegan and wellness communities welcome its plant-based approach. Workshops and pop-up restaurants abroad introduce temple cuisine to curious diners. The movement promotes Korea’s traditional food philosophy on a global scale. 자연 재료와 담백한 맛으로 구성된 한국 사찰음식은 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비건·웰니스 문화와도 잘 맞아 글로벌 관심이 증가했다. 해외 워크숍과 팝업 레스토랑들이 사찰음식을 소개하며 인기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한국의 전통적인 음식 철학을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한다.
Korean minimalist fashion is attracting global interest with its clean lines and neutral tones. International shoppers appreciate the balance of practicality and elegance. Online platforms featuring Korean lookbooks have boosted global visibility. The trend reflects a growing preference for understated yet refined styles. 깔끔한 라인과 차분한 색감이 특징인 한국 미니멀리즘 패션이 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다. 해외 소비자들은 실용성과 우아함이 조화를 이루는 스타일을 높게 평가한다. 온라인 룩북과 쇼핑 플랫폼이 확산되며 K-패션의 인지도도 상승했다. 이 흐름은 절제된 아름다움을 선호하는 글로벌 트렌드를 보여준다.
K-food mukbang videos are gaining worldwide popularity as viewers enjoy the combination of sound, visuals, and storytelling. Foreign audiences are fascinated by the variety of Korean dishes showcased in each episode. Many creators have gained international followers by filming high-quality eating shows. Mukbang continues to grow as a unique form of cultural content. K-푸드 먹방은 소리와 영상, 이야기 전달이 어우러지며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외국인 시청자들은 에피소드마다 등장하는 다양한 한국 음식에 매료된다. 여러 크리에이터들은 고퀄리티 먹방 콘텐츠로 해외 팬층을 확보하고 있다. 먹방은 한국 고유의 문화 콘텐츠로 꾸준히 성장 중이다.
Korean travel vloggers are gaining attention as they showcase hidden spots and local culture. Their cinematic filming styles appeal to global viewers interested in exploring Korea. Many channels provide subtitles to expand accessibility. These creators play a growing role in promoting Korea’s tourism image. 한국 여행 브이로거들은 숨은 명소와 지역 문화를 소개하며 해외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감각적인 촬영 기법은 한국을 여행하고 싶은 글로벌 시청자들에게 매력적이다. 여러 채널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언어 자막을 제공한다. 이들은 한국 관광 이미지를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