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의 은퇴 설계, 50대가 마지막 골든타임인 이유
‘은퇴’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많은 사람들이 60세나 65세쯤을 생각한다. 하지만 평균수명이 100세에 육박하는 지금, 60대 은퇴는 오히려 ‘인생 후반전의 시작’일 뿐이다. 문제는 이 후반전이 30~40년이나 이어진다는 점이다. 준비 없이 맞이한 은퇴는 긴 시간 동안 경제적·정서적 압박을 안길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 준비의 마지노선은 대개 50대에 형성된다. 50대는 경제적·사회적·건강적 측면에서 인생의 전환점이자 골든타임이다. 우선 경제적으로 보면, 이 시기는 대다수가 소득의 정점에 도달하는 시기다. 자녀 교육비, 주택 대출, 생활비로 지출이 많지만 동시에 앞으로 몇 년간은 정기적인 급여를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구간이기도 하다. 이 기간 동안 노후자금을 얼마나 마련하느냐가 은퇴 이후의 삶을 결정짓는다. 40대까지는 시간이 해결해주던 복리 효과가 50대에는 크게 줄어든다. 남은 시간은 길지 않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은 점점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한 50대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절정이기도 하다. 직장에서 쌓아온 경력과 인맥이 살아 있는 마지막 시기다. 은퇴 이후에도 활용할 수 있는 2차 커리어의 기반은 이때 다져야 한다. 50대에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작은 부
- 헤드라인경제신문 기자
- 2025-08-14 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