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산하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오는 7월 1일부터 11일까지 2026학년도 신입생 우선선발 전형을 실시한다. 이번 모집은 수시모집 이전 독자적인 입학고사를 통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로, 전통문화와 국가유산 분야의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본격적인 첫걸음이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지난 2000년 설립된 이래 국가무형유산, 전통건축, 보존과학 등 전통문화 전 분야에 걸친 전문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해왔다. 단청장, 목조각장, 자수장, 제와장, 한산모시짜기 등 국가무형유산 전수교육학교를 운영하며, 실제 수리기능 자격시험에서도 높은 합격률을 보여 전문인력 양성의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에는 63명, 올해는 68명의 국가유산수리기능자 자격시험 합격자를 배출했다. 2026학년도 모집인원은 총 161명으로, 이 가운데 우선선발로 48명을 선발하며 수시모집 97명, 정시모집 16명이 추가로 이어질 예정이다. 우선선발 전형은 전통건축학과 9명, 전통조경학과 6명, 보존과학과 8명, 전통미술공예학과 8명, 무형유산학과 5명, 국가유산관리학과 7명, 융합고고학과 5명 등이다. 이번 전형의 특징은 수험생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존 105문항에서 60문항으로 시험 문항 수를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이 국가유산청 출범 1주년을 기념해 5월 16일부터 18일까지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중정 야외무대에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새로운 형태의 무형유산 공연 ‘다시락미디어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다시락’은 ‘다시, 잇다, 즐기다, 아우르다’라는 의미로, 전통을 현대와 연결하고 미래로 이어가는 무형유산의 가치를 국민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취지를 담고 있다. 축제는 5월 16일과 17일 오후 7시, 전통음악을 전자음악으로 재해석하는 아티스트들이 무대를 채운다.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전자음악과 미디어 아트를 결합한 여성 듀오 ‘해파리(HAEPAARY)’, 국악기와 전자음악의 융합을 실험하는 ‘무토(MUTO)’, 전통 장단을 현대 음악으로 재창조하는 ‘뿌레카(BBUREKA)’가 무대를 꾸민다. 5월 17일 오후 4시에는 전통연희 탈춤과 남사당놀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연희집단 더(THE)광대’의 공연 ‘도는 놈, 뛰는 놈, 나는 놈’이 펼쳐진다. 이어 5월 18일 오후 3시에는 판소리 ‘흥보가’를 현대적 예술로 풀어낸 ‘움직임팩토리’의 ‘친구따라 제비간다’, 오후 5시에는 전통국악을 재즈와 블루스로 융합한 ‘더튠(THE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