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산양의 모근에서 채취한 체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되돌리는 데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 이 기술은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개체 복원과 유전자 다양성 확보를 위한 생명공학적 접근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는 국립생물자원관이 2022년부터 추진 중인 ‘생물자원 동결보존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연구진은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등으로 개체 수가 급감한 산양의 유전적 다양성을 회복하고, 안정적인 보전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체세포 기반의 줄기세포 연구에 나섰다.
2025년 6월, 연구진은 산양의 모근세포에 Oct4, Sox2, c-Myc, Klf4 등 역분화 유전자를 주입해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전환을 시도했다. 실험 결과, 세포 형태와 염색체 구조, 줄기세포 표지인자 등의 분석을 통해 이 세포들이 생식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로 분화 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산양 모근세포의 iPSC 전환율은 27%로, 이는 멸종위기종의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를 선도해온 미국, 영국, 중국 등의 최대 전환율인 20%를 넘어서는 성과다. 이는 한국의 줄기세포 기반 생명공학 기술력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며, 야생동물에 특화된 줄기세포 유도에 성공한 세계 12번째 사례로도 기록된다.
이 성과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멸종위기 동물의 생식세포 유도 및 개체 복원, 그리고 유전자 다양성 확보를 가능케 하는 미래 지향적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 결과는 오는 8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투고될 예정이다.
유호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기술은 산양을 비롯한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복원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립생태원과 국립공원공단 등과의 협업을 통해 실질적인 보전 성과를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야생동물 보전의 해법이 과학의 손끝에서 태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고무적이다.
[출처=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