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4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구름많음고산 25.2℃
  • 흐림성산 25.1℃
  • 구름많음서귀포 29.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국악가요가 국립극장에서 새롭게 재조명되다

국립극장 전속 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은 오는 10월 25일 하늘극장에서 국악가요 공연을 선보인다. 이번 무대는 1970~1980년대 대중에게 큰 인기를 얻었던 국악가요를 오늘의 감각으로 되살려 국악의 대중화와 새로운 확장을 모색하는 자리다.

 

 

국악가요는 전통 장단과 가락에 대중가요의 감성을 결합한 창작 민요풍 가요로,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멜로디와 한국적 정서를 담아낸 점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창작국악연주그룹 슬기둥, 강호중, 주병선 등이 대학가요제와 방송 무대를 통해 대중적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트로트와 성인가요에서도 그 특징과 명맥이 이어졌다.

 

이번 무대는 국악가요에 담긴 시대상과 변화를 국악관현악과 함께 재조명하고, 잊혔던 장르의 문화적 의미와 확장 가능성을 새롭게 탐구한다. 지휘와 해설은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채치성이 맡는다. 그는 국악가요 전성기를 함께했던 슬기둥의 작곡가이자 ‘꽃분네야’를 만든 주인공으로, 직접 당시의 매력을 국악관현악 사운드로 풀어낼 예정이다.

 

공연 프로그램은 총 12곡으로 구성됐다. 첫 곡은 손다혜 작곡가가 국악관현악용으로 새롭게 편곡한 ‘찬란함 속으로’이며, 이어 김영동의 ‘어디로 갈거나’, 조광재의 ‘산도깨비’, 채치성의 ‘독도아리랑’과 ‘타버린 사랑’, 박범훈의 ‘배 띄워라’ 등 대표곡들이 무대에 오른다. 1980년대 이후 창작된 ‘아버지의 노래’, ‘가시버시 사랑’도 새롭게 선보이며, 국악가요가 시대마다 어떻게 확장됐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협연에는 1세대 소리꾼 강호중을 비롯해 전명신, 주병선, 국립창극단 단원 이광복과 이소연, 민요 소리꾼 홍승희가 참여해 세대를 아우르는 무대를 완성한다. 공연은 단순한 향수에 머물지 않고 국악관현악과 결합해 오늘의 관객과 소통하는 데에 무게를 둔다.

예매와 문의는 국립극장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가능하다.

 

국악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다리를 놓으며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한다는 점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