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시장 확대 위한 공공주도형 입찰 추진… 정부, 산업 생태계 구축 본격화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최남호 제2차관 주재로 열린 ‘제2차 해상풍력 활성화 업계 간담회’에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추진방안은 해상풍력 산업이 초기 단계에서부터 에너지 안보와 석탄발전 전환 등을 고려해 체계적으로 보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정부 연구개발(R&D) 성과물을 사업화할 수 있도록 실증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공공기관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해상풍력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산업부는 이 계획을 바탕으로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고, 터빈과 기자재 실증을 지원하는 별도의 입찰 경로를 올해 상반기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이 과반 지분을 보유해야 사업에 참여할 수 있으며, 공공 단독 출자 여부와 정부 R&D 실증 여부에 따라 지분 기준을 차등 적용하게 된다. 평가 방식은 기존의 2단계 평가체계를 유지하되, ‘자원안보특별법’에 따른 안보 평가지표를 신설해 평가 점수를 반영할 계획이다. 참여 기업들에게는 공급망과 에너지 안보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