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이 5월부터 8월까지 전북 전주시 얼쑤마루 대공연장에서 총 6회에 걸쳐 무형유산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기획 공연 ‘2025 무형유산 너나들이’를 선보인다. 이번 기획 공연은 무형유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현대 예술 분야와 협업하여 전통의 가치를 새로운 방식으로 조명하고, 동시대 관객과의 소통을 모색하는 무대다. 첫 번째 공연은 5월 30일 오후 7시 30분과 31일 오후 4시에 열리는 <반도지형도>다. 거문고(황진아), 기타(이시문), 색소폰(김성완), 드럼(김수준)으로 구성된 4인 그룹 반도가 한반도의 지형과 문화적 다양성에서 영감을 받아 창작곡을 선보이며, 한국 음악의 정체성을 탐색한다. 이어 6월 20일 오후 7시 30분과 21일 오후 4일에는 두 번째 공연 <살로메 – 음악콘서트>가 무대에 오른다. 오스카 와일드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인간 욕망의 본질을 한국 전통 소리로 풀어낸 창작 공연으로, 판소리, 종묘제례악 등 국가무형유산 이수자와 전수자가 참여해 강렬한 서사와 깊이 있는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8월 29일 오후 7시 30분과 30일 오후 4일에는 <무경계無經界 III&g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이 국가유산청 출범 1주년을 기념해 5월 16일부터 18일까지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중정 야외무대에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새로운 형태의 무형유산 공연 ‘다시락미디어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다시락’은 ‘다시, 잇다, 즐기다, 아우르다’라는 의미로, 전통을 현대와 연결하고 미래로 이어가는 무형유산의 가치를 국민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취지를 담고 있다. 축제는 5월 16일과 17일 오후 7시, 전통음악을 전자음악으로 재해석하는 아티스트들이 무대를 채운다.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전자음악과 미디어 아트를 결합한 여성 듀오 ‘해파리(HAEPAARY)’, 국악기와 전자음악의 융합을 실험하는 ‘무토(MUTO)’, 전통 장단을 현대 음악으로 재창조하는 ‘뿌레카(BBUREKA)’가 무대를 꾸민다. 5월 17일 오후 4시에는 전통연희 탈춤과 남사당놀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연희집단 더(THE)광대’의 공연 ‘도는 놈, 뛰는 놈, 나는 놈’이 펼쳐진다. 이어 5월 18일 오후 3시에는 판소리 ‘흥보가’를 현대적 예술로 풀어낸 ‘움직임팩토리’의 ‘친구따라 제비간다’, 오후 5시에는 전통국악을 재즈와 블루스로 융합한 ‘더튠(THE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