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와 기아가 미국 시장에서 또 하나의 대기록 달성을 앞두고 있다. 1986년 첫 발을 디딘 이후 40년 가까운 시간 동안 쌓아온 신뢰와 꾸준한 성장을 바탕으로, 양사는 올해 중으로 미국 누적 판매 3000만 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현대차·기아는 지난 2월까지 미국에서 총 2930만3995대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현대차는 1711만6065대, 기아는 1218만7930대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만 현대차 91만1805대, 기아 79만6488대를 판매하며 양사는 나란히 미국에서 역대 최다 판매를 달성했고, 미국 내 전체 판매 순위 4위를 2년 연속 유지했다. 현대차는 1986년 울산공장에서 생산한 ‘엑셀’을 미국에 수출하며 첫발을 내디뎠고, 2005년 앨라배마 공장을 가동하며 본격적인 현지화에 나섰다. 기아 역시 1992년 미국 판매법인 설립 후 1994년 ‘세피아’와 ‘스포티지’를 시장에 선보였으며, 2010년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에 현지 생산공장을 완공하며 생산 기반을 다졌다. 누적 판매 1000만 대까지는 25년이 걸렸지만, 이후 7년 만에 2000만 대를 돌파했고, 6년여 만에 3000만 대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현
현대자동차·기아가 보안 시스템 전문업체 슈프리마와 손잡고 로봇 친화빌딩 구축을 확대한다. 현대차·기아는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슈프리마와 함께 ‘로보틱스 및 AI 기반 토탈 보안 솔루션 구축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로봇 기술과 보안 시스템을 결합해 미래형 스마트 빌딩 구축을 위한 협력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슈프리마는 국내 출입 통제 분야 1위 기업으로,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팩토리얼 성수에서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과 협업하며 로봇 친화빌딩 개념을 검증한 경험이 있다. 이번 협약은 로봇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키고, 혁신적인 로보틱스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해 로봇 친화빌딩 사업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로봇 친화빌딩 구현을 위해서는 로봇이 건물 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최적화하는 기술과 이를 로봇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기술이 핵심 요소로 꼽힌다. 현대차·기아는 로보틱스 기술을 오피스, 병원, 호텔 등 다양한 공간에 적용하는 ‘로보틱스 토탈 솔루션’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교한 보안 서비스와 고객 편의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측은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