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취약계층의 에너지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2025년 125억 원 규모의 ‘취약계층 고효율가전 구매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2월 3일(월) 한국전력의 고효율가전 홈페이지(http://support.kepco.co.kr)를 통해 공고문이 게시되며, 2월 17일(월)부터 신청·접수를 받는다. 이번 사업에서는 전기요금 복지할인 가구당 30만 원 한도는 유지하면서도, 환급 비율을 상향 조정해 지원을 강화한다. ㉮군(장애인(1~3급), 국가·상이유공자(1~3급), 독립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등) : 기존 20% → 30% ㉯군(3자녀 이상 가구, 출산 3년 미만 가구, 대가족(5인 이상)) : 기존 10% → 15% 지원 품목 확대… 식기세척기 신규 추가 올해부터 환급 대상 품목에 식기세척기가 추가되며, 기존 지원 품목이었던 냉온수기(순간식)는 제외됐다. 이에 따라 총 11개 품목이 지원 대상이다.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전기밥솥, 공기청정기, 김치냉장고, 제습기, 진공청소기(유선), 의류건조기, 식기세척기(신규 추가) 환급을 희망하는 가구는 에너지효율등급 라벨·제조번호 명판, 거래내역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가 11월 22일 오후 3시 서울 코엑스에서 「제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과 「에너지기술개발 로드맵」에 대한 공청회를 열고, 탄소중립 달성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을 공개했다. 이번 공청회는 산·학·연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표와 질의·토론이 진행되었다. 10년간의 에너지 기술개발 청사진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에너지법」 제11조에 따라 향후 10년(2024~2033)간의 에너지 기술개발 비전과 목표, 투자 방향 등을 제시하는 법정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6개 분과, 70여 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분과위원회를 20차례 개최해 현장 의견을 반영해왔다. 이번 계획의 비전은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정성 달성을 위한 무탄소 에너지 생태계 조성’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4대 전략과 14대 세부 과제를 수립했다. 또한, 투자성과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도 포함됐다. 4대 전략 및 주요 내용 -무탄소 에너지 기술경쟁력 강화 -소형모듈원자로(i-SMR) 등 원전 활용 확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경쟁력 강화 -청정수소와 청정화력의 경제성 향상 및 국산화 유연하고 안정적인 에너지망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