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북방의 초원과 산맥을 지나온 거친 바람은 고구려의 땅을 스치며, 이곳을 지켜야 할 자를 부르고 있었다. 그 바람의 부름에 응답한 자, 검을 쥔 채 대지를 가르는 이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대무신왕(大武神王). 그는 고구려를 강한 나라로 만든 왕이었다. 그러나 그의 길은 단순한 정복의 길이 아니었다. 그것은 고구려가 사느냐, 죽느냐의 갈림길이었고, 그는 자신의 몸으로 그 길을 개척해야 했다. 그는 싸워야 했다. 그리고 지켜야 했다. 왕이 된다는 것 유리왕이 세상을 떠났다. 이제 고구려의 왕좌는 새로운 주인을 맞이해야 했다. 왕의 아들이라 해서 왕이 되는 것은 아니다. 피가 왕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힘이 왕을 만든다. 대무신왕은 이를 알고 있었다. 그가 왕이 되던 날, 신하들은 그에게 물었다. "왕이란 무엇입니까?" 그는 대답하지 않았다. 다만 검을 쥐었다. 고구려는 여전히 작은 나라였다. 사방에는 적들이 도사리고 있었다. 부여는 여전히 강했고, 옥저와 동예는 고구려를 쉽게 보았다. 그가 왕이 되었다고 해서, 세상이 그를 인정해 주지는 않았다. 그렇다면 그는, 인정받기 위해 싸워야 했다. 첫 번째 전쟁 - 옥저를 굴복시키다 고구려는 산과 강이 많은 나라였다
고구려의 시작은 주몽이었다. 그는 한 사람이었으나, 한 시대를 만들었다. 그러나 그 뒤를 이은 자, 두 번째 왕이 된 이는 그저 주몽의 아들이라는 이유만으로 왕이 되지 않았다. 그는 떠돌아야 했고, 자신이 누구인지 끊임없이 증명해야 했다. 그의 이름은 유리왕(瑠璃王). 사람들은 흔히 강한 자만 기억한다. 그러나 강한 자란, 처음부터 강했던 것이 아니다. 고구려의 왕이 된다는 것, 그것은 피로 쓰인 운명이었다. 버려진 자의 길 세상에는 저절로 주어지는 것은 없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모든 것을 갖춘 자가 있는가 하면, 어떤 이는 제 것이었어야 할 것조차 빼앗긴 채 세상을 떠돈다. 유리는 후자였다. 그의 어머니, 예씨는 고구려의 왕이 된 주몽을 기다렸을 것이다. 부여의 땅에 남겨진 채, 언젠가는 자신과 아들을 데리러 올 것이라 믿으며. 그러나 주몽은 돌아오지 않았다. 어머니는 아들에게 말했다. "이곳은 네가 있을 곳이 아니다. 네가 가야 할 길이 따로 있다." 그 길은 곧 유리의 운명이었다. 그는 어머니를 뒤로 하고, 아버지가 있는 곳을 향해 길을 떠났다. 왕의 아들이라는 증거 고구려의 땅에 도착한 날, 유리는 모든 것이 낯설었다. 성벽은 높았고, 하늘은 탁 트여
기아는 EV3가 ‘2025 영국 올해의 차(UK Car of the Year)’에 최종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영국 올해의 차는 매년 영국에서 활동하는 자동차, 비즈니스, 테크 등 산업 전문 기자 31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12개월 이내 출시된 차량을 대상으로 심사 및 투표를 진행해 선정한다. EV3는 지난 2월 1차 심사에서 ‘2025 영국 올해의 차’ 소형 크로스오버 부문 최고의 차로 뽑혔다. 이어 각 부문별 최고의 자동차로 선정된 △현대차 싼타페(대형 크로스오버) △현대차 아이오닉 5 N(고성능차) △스즈키 스위프트(소형차) △스코다 수퍼브(패밀리카) △미니 컨트리맨(중형 크로스오버) △폴스타 폴스타4(비즈니스) 등 경쟁 모델을 제치고 최고상을 수상했다. 영국자동차산업협회(SMMT)에 따르면 영국의 전기차(BEV)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영국 내 전기차 신규 등록 건수는 38만1970대로, 2023년 대비 21.4% 증가했으며 전체 산업 수요(195만2778대)에서 19.6%를 차지했다. 기아는 이번 수상으로 전기차 시장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는 영국에서 EV9(2024 영국 올해의 차)에 이어 EV3까지 2년 연속 ‘영국 올해의 차
세상에는 수많은 나라가 흥망성쇠를 거듭해 왔지만, 그 시작에는 늘 한 명의 사람이 있었다. 때로는 칼을 들고 전장을 누비던 영웅이었고, 때로는 백성의 고통을 어루만지던 지도자였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하늘의 뜻을 받아 태어난 왕, 그리고 스스로 운명을 개척한 자는 드물었다. 그 이름, 주몽(朱蒙). 고구려라는 이름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기 훨씬 이전, 그는 거친 북방의 강과 초원에서 태어나, 운명처럼 한 나라의 기틀을 세웠다. 강에서 태어난 아이 먼 북방, 부여(夫餘)라는 나라가 있었다. 부여는 한때 강성했으나, 점차 그 힘을 잃고 있었다. 왕은 금와왕(金蛙王)이었고, 그는 오랜 세월을 통치하며 신하들의 존경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어느 날, 그의 앞에 신비로운 여인이 나타났다. 그녀는 스스로를 유화(柳花)라고 소개했다. 금와왕은 그녀의 출신을 알고 있었다. 그녀는 강의 신 하백(河伯)의 딸이었다. 그러나 그녀의 얼굴에는 슬픔이 가득했다. 왕이 그녀에게 사연을 묻자, 그녀는 조용히 입을 열었다. "저는 원래 하늘에서 내려온 해모수(解慕漱)라는 신과 혼인을 했습니다. 그러나 부여의 왕실에서는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강에 버려졌고, 떠
단군왕검, 신단수 아래에서 시작된 나라 하늘이 열리고, 한 나라가 시작되다 태백산 깊은 곳에 자리한 신단수(神壇樹)의 잎사귀들이 가볍게 흔들리고 있었다. 하늘은 높고 푸르렀으며, 햇살은 따스했다. 그러나 이 땅을 사는 사람들의 삶은 고단했다. 사방이 어지러웠고, 세상에는 아직 질서라는 것이 없었다. 그러한 혼돈 속에서, 누군가는 이 세상을 다스릴 자격을 가진 왕을 기다리고 있었다. "사람의 세상을 다스리고 싶습니다." 하늘 위, 신들의 나라에서 한 존재가 나섰다. 그는 환웅(桓雄)이었다. 환웅은 아버지 환인(桓因)에게 간청했다. 인간 세상이 어지러우니 내려가 그들을 다스리겠다고. 아버지는 아들의 뜻을 받아들였고, 그에게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내렸다. 그것은 하늘이 준 권위, 왕이 될 자격이었다. 환웅은 신하들과 함께 하늘에서 내려왔다. 바람을 다스리는 풍백(風伯), 비를 부리는 우사(雨師), 구름을 거느리는 운사(雲師). 그들은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자리를 잡고 나라를 열었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농사와 법률을 가르치며, 하늘의 뜻을 땅 위에 펼쳐 보였다. 그러나 이 새로운 세상을 지켜보던 두 마리의 짐승이 있었다. 곰과 호랑이. 그들은 인간이 되고 싶었다
1. 선사시대 땅 위의 오래된 발자국 아주 오래전, 한반도의 산과 강에는 지금과는 다른 시간이 흘렀다. 계절은 돌고 돌았고, 사람들은 그 계절을 따라 떠돌았다. 사냥을 하고, 열매를 따고, 물가에 움집을 짓고 살았다. 그들은 먼 훗날 우리가 ‘구석기인’이라고 부르게 될 사람들이었다.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은 날카로운 돌을 쪼개 도구를 만들고, 동굴과 바위 아래에서 거센 바람과 추위를 피했다. 먹을 것이 부족하면 다른 땅을 찾아 떠났다. 한반도 곳곳에서 발견된 주먹도끼와 긁개, 그리고 불을 사용한 흔적들이 그들의 흔들리는 삶을 증언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흘렀다. 사람들은 더 이상 떠돌기만 하지 않았다. 땅에 머무르며 씨앗을 뿌리고, 기다렸다.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오면, 자신이 심은 곡식들이 자라는 것을 보았다. 강가와 바닷가에서는 조개를 캐고, 그 조개껍질이 산처럼 쌓였다. 이즈음, 사람들은 흙을 빚어 토기를 만들었다. 불에 구운 토기에는 손으로 눌러 만든 무늬가 남았고, 그 무늬는 신석기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 신석기 사람들은 강가에 움집을 짓고 한곳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돌도구는 더욱 정교해졌고, 낚시를 위한 그물추와 뼈바늘이 등장했다. 그들의
교과서 발행부수 1위 기업 미래엔의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지리 교과서’가 ‘iF 디자인 어워드 2025(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 2025)’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iF 디자인 어워드’는 1953년 독일에서 시작된 세계적인 디자인 공모전으로, △제품 △패키지 △사용자 경험(UX)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콘셉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디자인 등 총 9개 부문에서 독창성과 혁신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상작을 선정한다. 미래엔은 이번 ‘iF 디자인 어워드 2025’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고등학교 지리 교과서’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 특히, 미래엔은 2022년 UX 디자인 및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 본상 수상, 2023년·2024년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 본상 수상에 이어 올해까지 4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미래엔 2022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는 기존의 경직된 디자인에서 벗어나 캐릭터와 웹툰 스타일의 일러스트를 적극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유도하기 위해 그래픽
외교부·해양수산부·해군은 3월 7일(금) 경남 거제시 인근 해역에서 ‘청해부대 제45진’의 민·관·군 해적대응 합동해상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청해부대 제45진(문무대왕함)의 해외 파병을 앞두고, 민간선박(한국해양수산연구원 ‘한우리호’)이 해적에 피랍되는 상황을 가정해 진행됐다. 이를 통해 △상황 전파체계 △현지공관 협조체계 △선원 구출 및 해적 소탕 능력을 점검했다. 민·관·군 합동훈련은 2011년 청해부대 제8진 파병부터 시작됐으며, 외교부는 2024년 청해부대 제43진 파병부터 훈련에 참여하고 있다. 최근 홍해·아덴만에서 후티 반군의 민간선박 공격과 소말리아 해적 활동 증가로 선박에 대한 위협이 커진 만큼, 이번 합동훈련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됐다. 이번 훈련에서 해양수산부는 피랍사건 접수 즉시 청해부대 및 외교부 등 관계기관에 신속하게 상황을 전파했으며, 외교부는 현지공관과 협력해 연안국의 지원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신속대응팀을 가동했다. 청해부대는 헬기와 고속단정을 투입해 우리 선박과 선원을 구출하고 해적을 진압하는 작전을 수행했다. 윤주석 외교부 영사안전국장은 “우리 선박 보호 임무를 수행할 청해부대 제45진 부대원들이 해외 파병 임무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 포항시(시장 이강덕)와 협력해 배터리 순환이용 산업을 핵심 녹색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3월 7일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서 경상북도·포항시와 ‘배터리 순환이용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식에는 김완섭 환경부 장관, 이철우 경상북도 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배터리 재생원료 시장 활성화 및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그동안 국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삼원계 배터리(NCM) 보다 최근 보급이 증가하고 있지만 재활용이 어려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재활용 기술개발도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김완섭 장관은 포항 지역 배터리 재활용 기업들과 현장 간담회를 개최해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배터리 순환이용 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간담회에 참석하는 기업들은 - 사용 후 배터리 재사용 제품 공공 보급 확대를 통한 초기 시장 형성 - 폐배터리 재활용업체의 방전설비 의무 구비 요건 완화 등의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간담회에는 에코프로CnG, 에너지 머티리얼즈, 피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는 청소년에게 진로·직업·문화·스포츠 등 다양한 체험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꿈끼카드’ 사업을 오는 28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꿈끼카드’는 청소년의 재능 계발과 꿈 실현을 지원하는 세종시 청소년 특화사업으로, 지난해 5,462명의 13세 청소년에게 카드를 발급해 약 4억 8,000만 원 상당의 지원을 제공하며 높은 호응을 얻었다. 올해는 1인당 연간 10만 원의 포인트를 충전해, 청소년이 온·오프라인 가맹점 319여 곳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기존에는 온라인 서점(예스24)에서만 도서를 구입할 수 있었으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역서점 14곳에서도 오프라인 구매가 가능하도록 가맹점을 확대했다. 시는 이를 통해 지역 서점의 매출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업 신청 및 접수는 중학교와 각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하며, 카드 수령 후 ‘꿈끼카드’ 누리집(sj.youthcard.kr)에서 사용자 등록 후 사용할 수 있다. 단, 올해 발급된 ‘꿈끼카드’는 12월 15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기한이 지나면 포인트가 자동 소멸된다. 세종시는 앞으로 청소년들이 ‘꿈끼카드’ 이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