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6명은 현재 자신의 일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상당수는 직무 전환 의사는 있지만 실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직, 보건·의료직, 연구·개발직 종사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불안도를 보였다. 국민 대표 일자리 플랫폼 벼룩시장이 직장인 1224명을 대상으로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9.0%가 현재 하고 있는 직무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31.7%, ‘불안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은 9.3%에 그쳤다. 직무별로는 건설직이 78.6%로 가장 높은 불안감을 보였고, 보건·의료직(69.2%), 연구·개발직(67.1%)도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금융직(26.1%), 교육직(48.7%), 사회복지직(50.0%), 생산직(51.6%)은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였다. 직무 불안의 주요 원인으로는 ‘낮은 급여’가 2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나이에 영향을 받는 직업’이라는 이유가 16.4%, ‘비전이 불확실한 직업’(13.5%), ‘워라밸이 좋지 않은 직업’(12.6%)이라는 응답도 많았다. 이외에도 AI 등 기술·기계로 대체 가능성이 있는 직
자영업자 52.9% “올해 경영환경 악화 예상”… 경기 회복 시점은 2026년 이후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한 가운데, 자영업자들도 올해 경영환경을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대표 일자리 앱 벼룩시장이 자영업자 731명을 대상으로 ‘2025년 경영환경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2.9%가 ‘지난해보다 나빠질 것 같다’고 답했다. ‘지난해와 비슷할 것 같다’(37.9%), ‘지난해보다 좋아질 것 같다’(9.2%)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경영환경이 언제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도 대다수의 자영업자들이 올해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응답자의 61.0%가 경영환경 회복 시기로 ‘2026년’을 꼽았으며, ‘2027년 이후에나 회복 가능’(32.7%)이라는 의견도 많았다. ‘2025년 경기 회복을 기대한다’는 답변은 6.3%에 불과했다. 올해 운영 계획에 대해서도 ‘사업 축소 예정’(36.8%)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변동 없을 것 같다(35.3%) △휴·폐업 고려 중(12.2%) △확장 고려 중(12.0%) △업종 전환 고려 중(3.7%) 순으로 나타났다. 신규 채용 계획 역시 ‘전혀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최근 1년 내 퇴사한 경험이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입사 후 1년이 채 되지 않아 회사를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대표 일자리 앱 벼룩시장이 20대 이상 직장인 1,72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퇴사 경험’ 설문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56.3%가 최근 1년 사이 퇴사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1년 미만’(28.4%) 근무 후 퇴사한 사례가 가장 많았다. 퇴사 사유 1위는 ‘열악한 근무환경’ 직장인들이 퇴사를 결심한 가장 큰 이유는 ‘열악한 근무환경과 복리후생에 대한 불만’(21.1%)이었다. 그 외에도 상사·동료와의 갈등(14.1%) 회사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13.9%) 낮은 연봉(9.2%) 과도한 업무·야근으로 인한 워라밸 부족(8.2%) 출산·육아·가족 돌봄(7.8%) 등의 이유가 퇴사 원인으로 꼽혔다. 또한, 기업 문화 불일치(6.2%), 업무 적성 불일치(5.7%) 등의 답변도 있었다. 퇴사 사유, 회사에 솔직히 밝히지 않아 퇴사 경험이 있는 직장인들의 대다수(47.9%)는 회사 측에 실제 퇴사 사유를 숨기고 적당히 둘러댔다고 답했다. 또한, ‘친한 동료들에게만 진짜 퇴사 사유를 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