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비에 새긴 꿈, 백제 성왕 강이 흐르는 곳에 도시가 있었다. 벽돌이 쌓이고, 거리에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그 도시는 더 이상 웅진이 아니었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나라를 꿈꾸는 한 왕이 그곳에 있었다. 그는 단순한 통치자가 아니었다. 그는 백제를 다시 일으키려는 개혁자였고, 사비라는 새로운 땅에서 미래를 설계한 개척자였다. 그의 이름은 성왕이었다. 웅진을 떠나 사비로 523년, 성왕이 왕좌에 올랐다. 그의 앞에는 두 개의 길이 있었다. 하나는 무령왕이 닦아 놓은 안정적인 백제를 유지하는 길, 그리고 다른 하나는 백제를 다시 강한 나라로 만들기 위해 변화하는 길. 그는 고민하지 않았다. 그는 후자를 택했다. 538년, 성왕은 수도를 웅진에서 사비(부여)로 옮겼다. 웅진은 방어하기 좋은 곳이었지만, 더 이상 백제의 미래를 담을 그릇이 아니었다. 한강을 잃은 백제에게는 새로운 중심지가 필요했다. 사비는 강과 가까웠고, 교역을 하기에 좋은 위치였다. 성왕은 이곳에서 다시 한강을 향한 꿈을 꾸었다. 그는 단순히 수도를 옮긴 것이 아니었다. 사비는 새롭게 계획된 도시였다. 궁궐을 짓고, 도로를 정비하고, 나라의 틀을 다시 세웠다. 그리고 그는 백제의 이름마저 바꾸었
세상에는 수많은 나라가 흥망성쇠를 거듭해 왔지만, 그 시작에는 늘 한 명의 사람이 있었다. 때로는 칼을 들고 전장을 누비던 영웅이었고, 때로는 백성의 고통을 어루만지던 지도자였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하늘의 뜻을 받아 태어난 왕, 그리고 스스로 운명을 개척한 자는 드물었다. 그 이름, 주몽(朱蒙). 고구려라는 이름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기 훨씬 이전, 그는 거친 북방의 강과 초원에서 태어나, 운명처럼 한 나라의 기틀을 세웠다. 강에서 태어난 아이 먼 북방, 부여(夫餘)라는 나라가 있었다. 부여는 한때 강성했으나, 점차 그 힘을 잃고 있었다. 왕은 금와왕(金蛙王)이었고, 그는 오랜 세월을 통치하며 신하들의 존경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어느 날, 그의 앞에 신비로운 여인이 나타났다. 그녀는 스스로를 유화(柳花)라고 소개했다. 금와왕은 그녀의 출신을 알고 있었다. 그녀는 강의 신 하백(河伯)의 딸이었다. 그러나 그녀의 얼굴에는 슬픔이 가득했다. 왕이 그녀에게 사연을 묻자, 그녀는 조용히 입을 열었다. "저는 원래 하늘에서 내려온 해모수(解慕漱)라는 신과 혼인을 했습니다. 그러나 부여의 왕실에서는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강에 버려졌고, 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