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신돈, 개혁의 길을 걷다 고려의 거리는 술렁였다. 왕이 있지만, 그 왕의 힘은 온전하지 않았다. 원나라의 그늘은 아직 짙었고, 귀족들은 여전히 권력을 움켜쥐고 있었다. 백성들은 변화를 바랐으나, 세상은 쉽게 바뀌지 않았다. 그때 한 사내가 나타났다. 그는 벼슬을 타고난 사람이 아니었다. 붓을 잡고 문서를 쓰던 문신도, 칼을 들고 전장을 누비던 장군도 아니었다. 검은 승복을 걸친 승려였다. 그러나 그는 세상을 바꾸고자 했다. 그의 이름은 신돈(辛旽). 그는 왕이 손을 내밀었을 때, 그 손을 잡았다. 왕의 뜻을 이루려 했고, 백성들에게 희망을 주려 했다. 그러나 개혁이란 것은 언제나 많은 적을 만드는 법이었다. 승려에서 권력자로 신돈은 원래 승려였다. 그가 세상을 바꾸기 위해 처음부터 권력을 원했던 것은 아니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머리가 좋았고, 현실을 볼 줄 아는 사람이었다. 공민왕은 혼자 힘으로 고려를 바꿀 수 없었다. 원나라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했고, 귀족들은 왕을 견제하고 있었다. 왕권을 되찾으려면, 왕을 도와줄 사람이 필요했다. 공민왕은 신돈을 선택했다. 신돈은 승려였기에 정치의 중심에 있던 인물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는 새로운 시선을 가졌
공민왕, 고려를 되찾다 고려의 하늘은 흐려 있었다. 왕은 있었으나, 왕이 아니었다. 원나라의 힘이 강했고, 고려의 왕조는 그들의 명령을 따라야 했다. 원나라에서 왕을 세우고, 원나라에서 왕을 폐위했다. 고려는 고려의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을 거부한 왕이 있었다. 그는 왕이었으나, 원나라의 신하가 되고 싶지 않았다. 그는 고려를 고려답게 만들고 싶었다. 그의 이름은 공민왕. 그는 고려를 되찾으려 했다. 고려를 원나라의 손에서 빼앗아, 다시 고려의 것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그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 반원 개혁, 원나라의 그늘에서 벗어나다 공민왕이 즉위한 것은 1351년이었다. 고려는 이미 원나라의 지배를 받은 지 오래였다. 왕조차도 원나라에서 마음대로 바꿀 수 있었다. 왕의 뒤에는 원나라의 관리가 있었고, 고려의 귀족들은 원나라의 눈치를 보았다. 그러나 공민왕은 그 질서를 깨뜨렸다. 그는 원나라의 옷을 벗어던졌다. 고려의 왕이 원나라의 옷을 입고, 원나라의 말을 쓰는 것을 그는 거부했다. 그는 원나라에서 파견된 정동행성을 폐지했다. 그것은 고려를 직접 통치하는 원나라의 기관이었다. 그것이 사라진 것은 고려가 다시 독립적인 나라가 된다는 뜻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