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국원왕, 평양성의 마지막 바람
바람의 왕, 고국원왕 고구려의 고국원왕은 멀리 평양성 밖의 들판을 바라보았다. 광활한 초원이 푸르게 펼쳐져 있었으나 그의 눈에는 근심의 빛이 가득했다. 이 땅을 지켜내는 것이 그의 숙명이었고, 또한 그가 걸어가야 할 외로운 길이었다. 고국원왕은 고구려 제16대 왕으로, 어려운 시기에 즉위했다. 그는 고국천왕의 손자였으며, 미천왕의 아들로서 왕위에 올랐다. 고구려가 북방과 남방에서 끊임없이 적의 침략과 외교적 갈등을 겪고 있을 때였다. 백제와 신라, 그리고 북으로는 중국의 전연(前燕)까지 그를 끊임없이 위협했다. 왕은 어린 시절부터 전쟁과 정치적 갈등을 겪으며 성장했다. 그는 스스로의 힘으로 나라를 지키겠다는 강인한 의지로 단련되었고, 외로움과 두려움 속에서도 결코 흔들리지 않는 굳건함을 키웠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고구려를 둘러싼 힘겨운 싸움은 날이 갈수록 격렬해져갔다. 그의 가장 큰 시련은 남방의 강력한 적인 백제였다. 근초고왕이 이끄는 백제의 군세는 강성하여 고구려의 남부 국경을 끊임없이 압박했다. 369년, 근초고왕의 군대가 치열하게 고구려를 침공해왔다. 전쟁의 참혹함과 함께 민초들의 울부짖음이 평양성을 뒤덮었고, 고국원왕은 직접 군사를 이끌
- 헤드라인경제신문 기자
- 2025-03-08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