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최남호 제2차관 주재로 열린 ‘제2차 해상풍력 활성화 업계 간담회’에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추진방안은 해상풍력 산업이 초기 단계에서부터 에너지 안보와 석탄발전 전환 등을 고려해 체계적으로 보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정부 연구개발(R&D) 성과물을 사업화할 수 있도록 실증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공공기관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해상풍력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산업부는 이 계획을 바탕으로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고, 터빈과 기자재 실증을 지원하는 별도의 입찰 경로를 올해 상반기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이 과반 지분을 보유해야 사업에 참여할 수 있으며, 공공 단독 출자 여부와 정부 R&D 실증 여부에 따라 지분 기준을 차등 적용하게 된다. 평가 방식은 기존의 2단계 평가체계를 유지하되, ‘자원안보특별법’에 따른 안보 평가지표를 신설해 평가 점수를 반영할 계획이다. 참여 기업들에게는 공급망과 에너지 안보 기여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2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일렉스 코리아(ELECS KOREA) 2025'에 참가해 전략 제품과 미래 기술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일렉스 코리아 2025'는 전력 공급을 위한 다양한 제품과 신재생 에너지 관련 솔루션을 소개하는 국내 대표 전시회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기산업진흥회와 한국전력공사가 주관한다. 올해는 '지능형 에너지 솔루션, AI와 DC 기술로 혁신하는 전기산업'을 주제로 개최돼 업계 관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대한전선은 이번 전시에서 '미래를 앞당기는 기술'을 콘셉트로 △해상풍력 솔루션 △HVDC(고전압직류송전) 케이블 시스템 △노후 송전망 교체 솔루션 △연구개발(R&D) 성과 등 4가지 테마로 부스를 구성했다.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및 고효율 전력망 구축을 위한 기술력과 성과를 대거 공개했다. 특히 해상풍력 솔루션 부문에서는 해저케이블과 국내 유일의 해상풍력 전용 케이블 설치선(CLVS) '팔로스'의 모형을 전시했다. 또한, 당진 고대부두에 부지를 확정한 해저케이블 2공장 건립 계획을 소개하며, 해저케이블의 생산부터 설치, 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에 걸친 '턴키(Tu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