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많음성산 20.1℃
  • 구름많음서귀포 20.3℃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경제

국내 최대 담수 내륙습지인 우포늪의 퇴적토에 11만 6천톤의 탄소 저장량 확인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최근 '담수 내륙습지의 탄소 저장량 구명 연구'를 통해 우포늪* 퇴적토에 약 11만 6천 톤의 탄소가 저장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 경상남도 창녕군 일원에 소재한 국내 최대의 내륙습지로 1998년 3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됐으며, ‘습지보전법’에 따라 보호를 받고 있음

 

내륙습지는 그동안 혐기성 미생물(메탄 생성균 등)에 의해 메탄과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스를 방출하는 탄소 배출원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내륙습지의 물속에 사는 식물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퇴적토에 탄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러한 내륙습지의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2023년부터 국내 최대 담수 내륙습지인 우포늪의 퇴적토에 저장된 탄소량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우포늪(면적 2.62km²)의 6m 깊이 퇴적토에 약 11만 6천 톤의 탄소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이 중 약 86%는 식물플랑크톤 중 돌말류(규조류)*에 의해 저장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우포늪은 매년 약 190톤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돌말류(규조류): 식물플랑크톤의 일종으로 엽록체를 가지고 스스로 광합성을 하는 일차생산자로, 물에 떠서 살거나 물기가 있는 토양, 돌, 나무 껍질 등에 붙어서 살기도 함

 

이번 연구는 우포늪의 퇴적토가 탄소를 얼마나 저장하고 있는지를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으로, 내륙습지의 탄소 흡수 및 저장 능력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 연구 결과를 ‘한국물환경학회지(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12월호에 발표할 계획이다.

 

류시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실장은 "이번 연구는 그동안 탄소 배출원으로만 여겨졌던 내륙습지가 탄소 흡수원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내륙습지의 퇴적토 탄소 저장량과 담수생물의 기여도를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국가 탄소중립 정책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출처=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