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복지공단(이사장 박종길)이 산재근로자의 빠른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전문재활치료를 조기에 제공하는 ‘우수의료기관 인증제도’ 시범사업을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박종길 이사장은 시범사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전국 21개 우수의료기관을 인증하고, 경기도 안산시의 두손병원을 제1호 급성기 우수의료기관으로 선정해 인증서를 직접 수여했다.
산재환자 재활치료 체계 구축
이번 시범사업은 산재환자가 수술 후 즉시 전문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우수 인증 의료기관 간 연계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급성기 의료기관은 수술과 같은 초기 치료를 마친 산재환자를 신속히 재활인증 의료기관으로 보내며, 재활인증 의료기관은 비용 부담 없이 산재환자에게 체계적인 전문재활치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산재보험의 역할을 기존의 치료와 현금 보상을 넘어 사회복귀 중심의 사회서비스로 확장하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전문재활치료의 중요성
산재환자의 다수를 차지하는 뇌혈관, 척추, 관절질환 환자에게 신속한 전문재활치료를 제공하는 것은 사회와 직장 복귀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공단 관계자는 “전문재활치료를 하루라도 빨리 받는 것이 신체 기능 회복과 직업 복귀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있다”며 조기 재활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경제적·사회적 가치 강조
박종길 이사장은 “저출생·고령화 시대에 노동인구 감소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산재근로자의 사회복귀는 국가 경제에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이번 시범사업은 신속한 전문재활치료 연계를 통해 산재환자의 신체 기능 회복과 직업 복귀를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우수의료기관 중심의 의료 전달체계를 구축하는 데 이번 사업이 중요한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시범사업은 산재환자 치료와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혁신적 접근으로, 공단은 이를 통해 산재보험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출처=근로복지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