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프로토콜,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현실적 실험
제작 배경 카우프로토콜(KAU)은 실물 자산인 금을 기반으로 한 스테이블코인을 표방하며 등장한 프로젝트다. 개발 배경에는 중앙은행 시스템에 대한 불신과, 금본위제와 같은 가치 안정적 금융 시스템을 디지털 자산 세계에 구현하려는 시도가 깔려 있다. KAU는 금 1g에 해당하는 가치를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하고 이를 글로벌 송금,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이 프로젝트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금 보유를 투명하게 관리하면서도 거래 효율성을 높이려는 실용적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다. 총 발행량 KAU 코인의 총 발행량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실제 금의 보유량에 따라 유동적으로 발행된다. 카우프로토콜의 구조상 금 1g을 확보해야 KAU 1개를 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실물 금의 수량이 발행량을 결정짓는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구조 중에서도 자산담보형 모델로, 이론상 인플레이션 우려는 낮지만, 금 확보와 보관에 대한 철저한 신뢰가 요구된다. 연구팀 및 운영 주체 카우프로토콜은 대한민국 기반의 블록체인 기업 '카우(KAU) 재단'에서 개발 및 운영 중이다. KAU는 2019년부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실물경제와 연결되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구축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