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등장한 지 15년이 지났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의 여파 속에서 태어난 이 디지털 자산은 기존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에서 출발했다. 비트코인의 백서에는 분산화와 탈중앙화라는 원칙이 담겨 있으며, 이를 통해 부의 재분배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품게 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른 지금, 과연 비트코인은 부의 재분배를 실현하고 있는가, 아니면 또 다른 부의 집중을 만들어 내고 있는가? 탈중앙화의 이상, 현실은? 비트코인의 가장 큰 특징은 탈중앙화다. 은행이나 정부 같은 중앙 권력이 개입하지 않고,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거래를 검증하고 기록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이론적으로 기존 금융 시스템의 불평등을 완화하고, 경제적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현실은 조금 다르다. 초기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참여했던 소수의 채굴자들과 투자자들은 오늘날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2024년 현재, 비트코인 시장의 80% 이상이 상위 2%의 지갑에 집중돼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는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의 부의 집중과 크게 다르지 않은 양상이다. 부를 분산하겠다는 비트코인의 이상은, 역설적으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부의 집중을 만들어냈다는 비판을 받는다.
▶비트코인···최초의 암호 화폐와 사토시 나카모토 비트코인(BTC)은 2009년에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이름의 익명의 개인 또는 그룹에 의해 만들어진 최초의 분산형 디지털 화폐이다. 온라인에서 거래되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거래 내역을 안전하게 기록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비트코인은 중앙은행이나 정부의 개입 없이 개인 간(P2P) 거래가 가능하며, 특정 기관의 통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탈중앙화된 화폐로 간주된다. 주요 특징 1. 탈중앙화: 비트코인은 중앙 관리 시스템이 없는 분산형 네트워크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며, 거래 내역은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2. 투명성: 모든 비트코인 거래는 블록체인에 공개되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3. 한정된 공급: 비트코인의 총 발행량은 2,100만 개로 정해져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이다. 4. 익명성: 거래할 때 신원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거래 기록은 모두 공개되므로 완전히 익명이라고는 할 수 없다. 5. 사용 및 가치 비트코인은 초기에는 주로 기술 커뮤니티와 일부 경제 활동가들 사이에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전 세계에서 투자 및 결제 수단으로 널리 알려졌다. 가격은 높은 변동성을 보이며, 채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는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가상화폐의 일종이다. 암호화폐는 탈중앙화된 P2P(인터넷에서 개인과 개인이 직접 파일을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것) 방식으로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을 이용하여 가치를 저장하기도 하고 전송하기도 한다. 비트코인은 2009년에 나카모토 사토시가 개발한 최초의 암호화폐이다. 비트코인의 최소 단위는 사토시이며, 비트코인을 생성하는 것을 비트코인을 채굴한다고 표현한다. 컴퓨터로 수학 문제를 풀 듯 문제를 해결하면 그 보상으로 비트코인이 생성되어 채굴이 되지만, 전기가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비트코인은 기존 화폐와 달리 중앙 정부의 통제 없이 개인과 개인 간에 빠르고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며, 2,100만개로 채굴할 수 있는 수량이 한정되어 있다. 거리에 관계없이 비트코인의 전송 시간은 약 10분 정도 걸린다. 현재와 같은 지폐나 주화가 없던 시절에는 물건과 물건을 교환하는 물물교환을 했다. 그러다가 조개껍데기, 쌀, 소금 등과 같은 것을 화폐로 사용하는 물품화폐가 등장한다. 물품 화폐를 사용하는 문제점, 즉 이동의 불편함과 분실 위험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