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남은 음식을 데울 때 전자레인지를 켜지만, 음식 일부는 뜨겁고 다른 부분은 차갑게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밥이나 빵, 치킨 같은 음식에서 특히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다. 전자레인지 속에서 음식이 불공평하게 열을 받는 느낌인데, 이 문제를 간단히 해결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물컵 하나를 전자레인지 안에 함께 넣는 것이다. 이 팁은 단순한 생활의 지혜가 아니라 전자레인지의 물리적 작동 원리와 관련이 있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라는 전자기파를 방출해 음식 속 수분 분자를 빠르게 진동시키며 열을 만든다. 문제는 음식 속 수분이 고르게 분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수분이 많은 부분은 빨리 데워지고, 적은 부분은 느리게 데워진다. 게다가 전자레인지 내부에는 마이크로파 세기가 균일하지 않아 ‘핫스팟’과 ‘콜드스팟’이 생긴다. 여기에 물컵을 넣으면 상황이 달라진다. 물은 마이크로파를 흡수해 안정적인 열원 역할을 한다. 물이 가열되며 발생하는 수증기가 전자레인지 내부 습도를 높여 음식 표면이 마르는 것을 막는다. 동시에 마이크로파가 물과 음식에 분산돼 닿으면서 특정 부분만 과열되는 현상이 줄어든다. 물컵이 전자레인지 안에서 ‘열의 완충 장치’ 역할을 하는 셈이다.
서울 관악구가 1인 가구의 안전을 위한 '안심장비' 지원에 다시 한번 나선다. 1인 가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62.7%에 이르는 관악구는 혼자 거주하며 범죄 불안에 노출되기 쉬운 주민을 위해 올해도 맞춤형 안심장비를 무상 제공한다고 밝혔다. 올해 지원되는 안심장비는 총 세 가지다. 외부 침입과 문 열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현관문 안전장치', 외출 중에도 현관 상황을 스마트폰으로 확인 가능한 '스마트 초인종', 실내 상황을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는 '실내용 홈카메라'다. 이 중 스마트 초인종과 홈카메라는 인터넷(Wi-Fi)과 스마트폰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으며, 신청 시 두 장비 중 하나를 선택해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 대상은 관악구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총 320가구로, 올해는 전세환산가액 기준을 폐지해 더 넓은 범위의 주민이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스토킹 피해나 주거 침입을 경험한 주민, 보호종료 이후 홀로 살아가는 자립준비청년 등은 우선지원 대상이다. 신청을 원하는 주민은 관악구청 홈페이지의 ‘새소식’ 게시판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뒤, 관련 서류와 함께 담당자 이메일(gawomen3@ga.go.kr) 또는 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서울 강서구(구청장 진교훈)는 1인 가구 청년과 중장년층을 위한 '동행 인문학' 강좌를 개설한다고 밝혔다. 이번 강좌는 1인 가구의 정서적 안정과 자존감 회복을 돕고, 개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강좌는 ‘나는 홀로, 강서에서 함께 동행’이라는 슬로건 아래 자존감을 높이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강좌는 총 4가지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청년 경제 독립 프로젝트’에서는 금융 자산 관리, 월세·식비·통신비 절약 팁을 포함한 경제적 자립 방안을 다룬다. ‘내 감정 리셋하기’에서는 색을 활용한 감정 표현과 치유의 시간을 제공하며, 아로마 향수 만들기와 책갈피 제작 등 감성 체험도 포함된다. 또한 ‘내 마음의 비밀을 풀다’에서는 타로 카드를 통해 자신의 심리 패턴을 탐색하고, ‘욕구와 집착에서 벗어나는 방법’, ‘혼자여도 괜찮아’ 등 다양한 주제로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소셜 글쓰기’에서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이야기와 타인의 이야기를 글로 기록하며 자기 성찰과 상호 이해를 도모한다. 강좌는 6월부터 7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진행되며, 수강료는 무료다. 각 강좌는 강서구 내 지정된 장소에서 진행되며, 프로그램별로 20명을 선착순으로
1인 가구가 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약 40%를 차지하며,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생활 방식 변화로만 설명할 수 없다. 사회 구조, 경제적 환경, 그리고 문화적 흐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1인 가구의 증가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와 문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소형 가전, 소포장 식품, 1인용 공간이 주류로 떠오른 것은 물론이고, 혼자서도 즐길 수 있는 취미와 콘텐츠가 다양해졌다. 혼밥, 혼술, 혼영 등 이른바 ‘혼자 하기 문화’가 하나의 흐름이 된 것도 이를 잘 보여준다. 하지만 혼자 사는 삶이 편리함과 자유로움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동물이며, 연결을 원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1인 가구 시대의 새로운 화두가 등장한다. ‘커뮤니티의 재발견’이다. 혼자 사는 사람들은 자유로운 일상을 누리면서도, 종종 관계의 빈자리를 느낀다. 친구와 가족, 동료들과의 만남은 여전히 소중하지만, 물리적 거리와 일상의 바쁨 속에서 관계가 느슨해지기 쉽다. 그렇다고 모든 사람이 기존의 전통적인 공동체로 돌아가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방식의 연결과 유대가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