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을 가른 왕, 영양왕 동녘 하늘이 붉게 물들던 어느 날, 장대한 고구려의 성벽 위로 묵직한 기운이 감돌았다. 말발굽 소리가 멈추고, 장수들은 숨을 골랐다. 그 위에 서 있는 한 사내가 있었다. 전장을 꿰뚫는 눈빛을 가진 왕, 영양왕. 그는 거친 바람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았고, 강대한 고구려의 운명을 다시 한 번 움켜쥐려 했다. 혼란의 시대에 왕좌에 오르다 고구려의 역사는 늘 전쟁과 함께였다. 590년, 영양왕이 왕위에 올랐다. 그가 왕이 되던 시절, 고구려는 안팎으로 위협을 받고 있었다. 중국에서는 수나라가 새롭게 등장해 천하 통일을 이루었고, 남쪽에서는 신라가 백제와 손을 잡고 한반도의 세력을 정리하고자 했다. 고구려의 왕좌에 앉는다는 것은 곧 칼날 위에 서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영양왕은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는 고구려가 흔들릴 수 없는 거대한 산맥과 같은 나라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수나라와의 대결, 전쟁의 시작 새롭게 중국을 통일한 수 문제(隋文帝)는 고구려를 자신의 발밑에 두고 싶어 했다. 하지만 영양왕은 강대국의 압력에 굴복할 생각이 없었다. 그는 국경을 강화하고, 전쟁을 준비했다. 598년, 결국 수나라의 대군이 압록강을 넘어 고구려로
강철의 왕, 문자명왕 어둠이 짙게 깔린 만주의 대지 위로 말발굽 소리가 울려 퍼졌다. 새벽녘의 차가운 바람 속에서도 무거운 투구를 쓴 사내는 흔들림이 없었다. 그의 눈앞에는 한없이 넓은 고구려의 영토가 펼쳐져 있었다. 그는 결코 무너질 수 없는 나라, 천년을 이어갈 제국을 꿈꾸었다. 그의 이름은 문자명왕. 혼란의 시대를 뚫고 문자명왕은 491년, 고구려의 왕좌에 올랐다. 그가 왕이 되던 시절의 고구려는 거센 바람 속에 서 있었다. 장수왕이 남긴 위대한 제국은 강대했지만, 외부의 압박과 내부의 불안이 점차 커져가고 있었다. 남쪽으로는 백제와 신라가 기회를 노리고 있었고, 북쪽에서는 북위가 틈을 엿보고 있었다. 강한 나라일수록 많은 적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문자명왕은 왕좌에 앉은 그 순간부터 결심했다. 고구려는 무너지지 않는다. 아니, 더욱 강해질 것이다. 북위를 견제하고 외교를 펼치다 북위는 강대한 나라였다. 중원의 패권을 잡고 있던 이 대제국은 고구려를 압박하며 자신의 세력권으로 끌어들이려 했다. 그러나 문자명왕은 쉽게 무릎을 꿇을 인물이 아니었다. 그는 정면으로 북위를 상대하는 대신, 신속하게 외교적 전략을 펼쳤다. 돌궐(突厥)과 같은 북방 민족과 관계를
천하를 품은 왕, 장수왕 왕좌에 오르다 평양성의 아침, 궁전에서는 고요한 바람이 흘렀다. 누군가는 조용히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었다. 칼과 말발굽 소리로 대지를 울린 왕들의 시대, 그 가운데서도 한 인물이 우뚝 섰다. 그의 이름은 장수왕. 그는 오랜 시간 고구려를 다스렸고, 제국의 운명을 바꾼 자였다. 장수왕은 광개토대왕의 아들이었다. 피는 끓었고, 운명은 정해져 있었다. 아버지가 넓힌 강토를 더 넓히고, 무너질 수 없는 나라를 만드는 것. 그가 왕위에 오른 것은 기원 413년, 젊은 나이였다. 그러나 그 어깨에 걸린 책임은 무거웠다. 단순한 정복자가 아니라, 지켜야 할 나라의 왕이었다. 수도를 옮기다 그는 생각했다. 고구려가 진정 강한 나라가 되려면, 싸움만으로는 부족하다. 칼날은 언젠가 무뎌지지만, 강한 기둥은 세월이 지나도 무너지지 않는다. 그는 수도를 옮기기로 결심했다. 427년, 고구려의 심장을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겼다. 단순한 도읍의 이동이 아니었다. 이것은 남쪽을 향한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었다. 대륙을 넘어 한반도 깊숙이 들어가겠다는 선언이었다. 백제를 무너뜨리다 수도를 옮긴 후, 장수왕은 백제를 압박했다. 강력한 왕권과 넓어진 국경을 바탕으로
강가에 선 한 사내의 눈빛이 번쩍였다. 광개토대왕. 겨우 열여덟의 나이에 왕위에 올라 장대한 북방의 강역을 지배한 사내. 피가 끓고, 바람이 분다. 이 대지의 주인이 누구인가. 바람은 말발굽 소리에 떨고, 강은 전쟁의 함성에 출렁인다. 고구려는 원래 그랬다. 땅이 넓어야 숨을 쉴 수 있었고, 칼날이 번뜩여야 적이 감히 넘볼 수 없었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그날, 소년왕 담덕의 가슴엔 오직 한 가지 생각뿐이었다. ‘고구려의 넓은 강산을 더욱 넓히리라.’ 광개토대왕은 말 위에 올라 바람을 가르며 전장을 누볐다. 요동을 제 손에 쥐었고, 백제의 성을 불태웠으며, 신라가 도와달라 손을 내밀자 달려가 왜구를 몰아냈다. 한강을 두고 백제와 맞섰고, 북으로는 부여를 평정했다. 그 손길이 닿는 곳마다 고구려의 깃발이 펄럭였다. 한 나라의 왕이 아니라 대륙의 주인이었다. 전쟁터에 나서면 광개토대왕은 앞장섰다. 무거운 갑옷을 입고도 누구보다 먼저 창을 들었고, 땀에 젖은 머리칼이 흩날려도 뒤를 돌아보지 않았다. 부하들이 물었다. “전하, 어찌하여 몸소 창을 드십니까?” 왕이 웃으며 대답했다. “내가 아니면 누가 앞장서겠느냐.” 적들은 두려워했다. 광개토대왕이 움직
바람의 왕, 고국원왕 고구려의 고국원왕은 멀리 평양성 밖의 들판을 바라보았다. 광활한 초원이 푸르게 펼쳐져 있었으나 그의 눈에는 근심의 빛이 가득했다. 이 땅을 지켜내는 것이 그의 숙명이었고, 또한 그가 걸어가야 할 외로운 길이었다. 고국원왕은 고구려 제16대 왕으로, 어려운 시기에 즉위했다. 그는 고국천왕의 손자였으며, 미천왕의 아들로서 왕위에 올랐다. 고구려가 북방과 남방에서 끊임없이 적의 침략과 외교적 갈등을 겪고 있을 때였다. 백제와 신라, 그리고 북으로는 중국의 전연(前燕)까지 그를 끊임없이 위협했다. 왕은 어린 시절부터 전쟁과 정치적 갈등을 겪으며 성장했다. 그는 스스로의 힘으로 나라를 지키겠다는 강인한 의지로 단련되었고, 외로움과 두려움 속에서도 결코 흔들리지 않는 굳건함을 키웠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고구려를 둘러싼 힘겨운 싸움은 날이 갈수록 격렬해져갔다. 그의 가장 큰 시련은 남방의 강력한 적인 백제였다. 근초고왕이 이끄는 백제의 군세는 강성하여 고구려의 남부 국경을 끊임없이 압박했다. 369년, 근초고왕의 군대가 치열하게 고구려를 침공해왔다. 전쟁의 참혹함과 함께 민초들의 울부짖음이 평양성을 뒤덮었고, 고국원왕은 직접 군사를 이끌
고구려의 새벽을 열다 – 미천왕의 이야기 찬란한 아침 해가 대동강 위로 떠오를 때, 고구려의 운명도 함께 밝아지고 있었다. 땅과 하늘이 맞닿은 그곳, 한 사내가 태어났다. 미천왕, 그의 이름은 후대에 이르러서도 고구려의 진정한 기틀을 닦은 왕으로 기억된다. 미천왕, 본명은 고을불(故乙弗)이었다. 그의 시대는 혼란스러웠다. 왕권은 불안했고, 외세는 끊임없이 국경을 넘나들며 고구려를 위협하고 있었다. 한때 고구려를 지배했던 중국의 위(魏)나, 변방에서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던 선비족과 백제의 움직임은 결코 가볍게 볼 수 없었다. 그러나 미천왕은 그저 불안 속에서 몸을 움츠릴 사람이 아니었다. 그는 스스로 운명을 개척하는 사내였다. 흙수저에서 왕이 되기까지 미천왕의 출생은 특별하지 않았다. 왕실 출신이긴 했으나, 한때 권력에서 밀려나 변방으로 내몰린 가문의 후예였다. 그의 부친은 정권 싸움에서 패배해 힘없는 귀족의 신세가 되었다. 왕권을 가진 자들에게 그는 위협이 되지 않는 존재였다. 그러나 그는 바람을 기다리는 호랑이처럼 때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는 단순한 왕자가 아니었다. 신하들의 뒤에서 왕권을 지켜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말을 타고 초원을 누비며 전장을
먼 북방의 초원과 산맥을 지나온 거친 바람은 고구려의 땅을 스치며, 이곳을 지켜야 할 자를 부르고 있었다. 그 바람의 부름에 응답한 자, 검을 쥔 채 대지를 가르는 이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대무신왕(大武神王). 그는 고구려를 강한 나라로 만든 왕이었다. 그러나 그의 길은 단순한 정복의 길이 아니었다. 그것은 고구려가 사느냐, 죽느냐의 갈림길이었고, 그는 자신의 몸으로 그 길을 개척해야 했다. 그는 싸워야 했다. 그리고 지켜야 했다. 왕이 된다는 것 유리왕이 세상을 떠났다. 이제 고구려의 왕좌는 새로운 주인을 맞이해야 했다. 왕의 아들이라 해서 왕이 되는 것은 아니다. 피가 왕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힘이 왕을 만든다. 대무신왕은 이를 알고 있었다. 그가 왕이 되던 날, 신하들은 그에게 물었다. "왕이란 무엇입니까?" 그는 대답하지 않았다. 다만 검을 쥐었다. 고구려는 여전히 작은 나라였다. 사방에는 적들이 도사리고 있었다. 부여는 여전히 강했고, 옥저와 동예는 고구려를 쉽게 보았다. 그가 왕이 되었다고 해서, 세상이 그를 인정해 주지는 않았다. 그렇다면 그는, 인정받기 위해 싸워야 했다. 첫 번째 전쟁 - 옥저를 굴복시키다 고구려는 산과 강이 많은 나라였다
고구려의 시작은 주몽이었다. 그는 한 사람이었으나, 한 시대를 만들었다. 그러나 그 뒤를 이은 자, 두 번째 왕이 된 이는 그저 주몽의 아들이라는 이유만으로 왕이 되지 않았다. 그는 떠돌아야 했고, 자신이 누구인지 끊임없이 증명해야 했다. 그의 이름은 유리왕(瑠璃王). 사람들은 흔히 강한 자만 기억한다. 그러나 강한 자란, 처음부터 강했던 것이 아니다. 고구려의 왕이 된다는 것, 그것은 피로 쓰인 운명이었다. 버려진 자의 길 세상에는 저절로 주어지는 것은 없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모든 것을 갖춘 자가 있는가 하면, 어떤 이는 제 것이었어야 할 것조차 빼앗긴 채 세상을 떠돈다. 유리는 후자였다. 그의 어머니, 예씨는 고구려의 왕이 된 주몽을 기다렸을 것이다. 부여의 땅에 남겨진 채, 언젠가는 자신과 아들을 데리러 올 것이라 믿으며. 그러나 주몽은 돌아오지 않았다. 어머니는 아들에게 말했다. "이곳은 네가 있을 곳이 아니다. 네가 가야 할 길이 따로 있다." 그 길은 곧 유리의 운명이었다. 그는 어머니를 뒤로 하고, 아버지가 있는 곳을 향해 길을 떠났다. 왕의 아들이라는 증거 고구려의 땅에 도착한 날, 유리는 모든 것이 낯설었다. 성벽은 높았고, 하늘은 탁 트여
기아는 EV3가 ‘2025 영국 올해의 차(UK Car of the Year)’에 최종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영국 올해의 차는 매년 영국에서 활동하는 자동차, 비즈니스, 테크 등 산업 전문 기자 31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12개월 이내 출시된 차량을 대상으로 심사 및 투표를 진행해 선정한다. EV3는 지난 2월 1차 심사에서 ‘2025 영국 올해의 차’ 소형 크로스오버 부문 최고의 차로 뽑혔다. 이어 각 부문별 최고의 자동차로 선정된 △현대차 싼타페(대형 크로스오버) △현대차 아이오닉 5 N(고성능차) △스즈키 스위프트(소형차) △스코다 수퍼브(패밀리카) △미니 컨트리맨(중형 크로스오버) △폴스타 폴스타4(비즈니스) 등 경쟁 모델을 제치고 최고상을 수상했다. 영국자동차산업협회(SMMT)에 따르면 영국의 전기차(BEV)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영국 내 전기차 신규 등록 건수는 38만1970대로, 2023년 대비 21.4% 증가했으며 전체 산업 수요(195만2778대)에서 19.6%를 차지했다. 기아는 이번 수상으로 전기차 시장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는 영국에서 EV9(2024 영국 올해의 차)에 이어 EV3까지 2년 연속 ‘영국 올해의 차
세상에는 수많은 나라가 흥망성쇠를 거듭해 왔지만, 그 시작에는 늘 한 명의 사람이 있었다. 때로는 칼을 들고 전장을 누비던 영웅이었고, 때로는 백성의 고통을 어루만지던 지도자였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하늘의 뜻을 받아 태어난 왕, 그리고 스스로 운명을 개척한 자는 드물었다. 그 이름, 주몽(朱蒙). 고구려라는 이름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기 훨씬 이전, 그는 거친 북방의 강과 초원에서 태어나, 운명처럼 한 나라의 기틀을 세웠다. 강에서 태어난 아이 먼 북방, 부여(夫餘)라는 나라가 있었다. 부여는 한때 강성했으나, 점차 그 힘을 잃고 있었다. 왕은 금와왕(金蛙王)이었고, 그는 오랜 세월을 통치하며 신하들의 존경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어느 날, 그의 앞에 신비로운 여인이 나타났다. 그녀는 스스로를 유화(柳花)라고 소개했다. 금와왕은 그녀의 출신을 알고 있었다. 그녀는 강의 신 하백(河伯)의 딸이었다. 그러나 그녀의 얼굴에는 슬픔이 가득했다. 왕이 그녀에게 사연을 묻자, 그녀는 조용히 입을 열었다. "저는 원래 하늘에서 내려온 해모수(解慕漱)라는 신과 혼인을 했습니다. 그러나 부여의 왕실에서는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강에 버려졌고, 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