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오는 11월 13일부터 15일까지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4 대한민국 정부박람회」(이하 박람회)에 참가해, 농식품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핵심 기능과 성과를 국민에게 선보이고, 데이터 융복합 서비스 및 맞춤형 정보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박람회는 행정안전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공동 주관하는 행사로, "내일을 위한 정부혁신, 함께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주제로 정부의 혁신 성과를 한자리에서 소개한다.
박람회의 ‘편리한 서비스’ 영역에 배치된 농식품부 홍보부스에서는 농식품 유관기관 29개에서 실시간으로 연계되는 163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농식품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체험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은 공익직불금 수령 자격 검증 등 공무원의 농정 집행과 농업인의 편의를 도모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특히, ‘공익직불 이행점검 대상추천 서비스’는 공간정보(GIS)와 기계학습을 활용해 실제 농경지가 아닌 부분을 식별하고, 고위험군 농지에 대해 공익직불금 점검을 추천한다. 이 서비스를 통해 관람객은 공익직불금 집행의 공정성과 신속성을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화형 업무안내 서비스’는 스마트팜 정책 업무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정책자료 검색을 간편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농산물 안전성 관리 서비스’에서는 농산물의 잔류 농약 기준 적합 여부를 관리하며, 천연 재료로 만든 퇴비 및 병해충 방제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농업ON 서비스’는 지역별, 시기별 맞춤형 농업 정보를 제공하며, 영농일지 작성 기능을 통해 농업인이 경영 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관람객은 농산물 유통가격, 기상정보, 병해충 발생 정보, 출하시기 추천 등의 데이터를 직접 확인해볼 수 있다.
농식품부 이상만 농식품혁신정책관은 "농식품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이 도입된 2020년 이후 4년간 약 3천억 원의 공익직불금을 절감했으며, 보조금 신청 시 증빙서류 간소화에도 크게 기여했다"고 성과를 강조하며, “스마트 농업 등 미래산업으로서의 농업 혁신에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박람회 체험에 참여하거나 관련 앱을 다운로드한 관람객에게는 사은품이 제공되며, 행사 기간 동안 매일 오후 2시에는 ‘럭키 퀴즈쇼’도 열린다. 온라인 사전등록은 박람회 누리집(http://govexpo.kr)에서 가능하며, 빠르고 편리한 입장이 가능하다.
[출처=농림축산식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