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여름철 무더위가 본격화됨에 따라 음식점에서 식중독 발생을 막기 위한 식재료 취급 요령과 예방수칙을 발표하고 주의를 당부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여름철(68월)에 발생한 식중독 평균 99건 가운데, 음식점에서 발생한 비율이 전체의 58%에 달해 주요 발생 시설로 지목됐다. 여름철은 특히 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 캠필로박터 제주니 등 세균성 식중독이 빈번한 시기로, 위생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예방을 위한 핵심 수칙으로는 ‘손보구가세’가 제시됐다. 이는 손 씻기, 보관, 구분, 가열, 세척·소독의 다섯 가지 기본 원칙이다.
육류·달걀·가금류 관리 요령
살모넬라와 병원성 대장균을 예방하려면 고기와 달걀은 중심 온도 7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야 하며, 날달걀은 껍질이 깨지지 않은 것을 골라 냉장보관하고 다른 식재료와 구분해 보관해야 한다. 달걀물 사용 후 손을 씻지 않고 다른 식재료를 만지는 등 교차오염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닭고기를 다룰 때는 생닭 세척수의 튐으로 인한 오염을 막기 위해 조심해야 하며, 생닭은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고 하단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소·과일 세척 및 곰팡이 관리
가열 없이 섭취되는 채소는 염소 소독액(100ppm)에 5분 이상 담갔다가 수돗물로 3회 이상 헹구는 것이 권장된다. 수박, 복숭아 등 껍질이 있는 과일은 과일 전용 세척제로 깨끗이 씻은 후 섭취해야 하며, 곡류나 견과류, 말린 채소 등은 습기와 곰팡이를 막기 위해 밀봉하여 건조하거나 냉장 보관해야 한다.
조리·판매 단계에서 주의할 점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식재료를 필요한 만큼만 구입해 장기 보관을 피해야 하며, 대량 조리한 반찬은 소분해 냉장보관 후 필요한 양만 꺼내 써야 한다. 칼, 도마 등은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하고 열탕 또는 살균제를 이용해 소독해야 한다.
또한, 수돗물 대신 지하수를 사용하는 음식점은 정기적인 수질검사와 소독장치 점검이 필요하며, 조리자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야 한다. 조리된 음식은 가능하면 2시간 이내 섭취하고, 보관 후 섭취 시에는 충분히 재가열해야 안전하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중독 예방 수칙을 쉽게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장 중심의 예방 활동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